문인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A020100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018

한자 : 文人
영어 : writer

a01-06-02 인간(지위/벼슬)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4-06 공동체 공동체

문단 [ 文壇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사림파 문인 [ 士林派文人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방외형 문인 [ 方外型文人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협력 문인 [ 協力文人 ]

hasKind (종류)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문종 [ 文宗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여류 문인 [ 女流文人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문인 사회 [ 文人社會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곡 () [ 李穀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숙민 () [ 崔淑民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임희재 [ 任熙宰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구용 (1338-1384) [ 金九容 ]

hasInstance (사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남효온 () [ 南孝溫 ]

陶淵明 「乞食」詩에 對한 一考察

A Study on the Poem The Begging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陶淵明 「乞食」詩에 對한 一考察

A Study on the Poem The Begging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遼金代 山東지역 文人詩 用韻 연구

A Study on the Rhyme of Shandong Writer's Poetry in the Liao․Jin Dynasty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문화학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The Retrospect and Prospect for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4)-Educational Research

南冥學硏究 | 35 | 2012 | 철학

‘自娛’의 예술창작관 연구

“自娛”的藝術創作觀硏究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우계학파(牛溪學派)의 학맥과 학풍

The Academic Root and Tradition of Woogye School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조선시대 장애인 예술가의 존재양상

The existential aspects of disabled artists in Joseon Dynasty period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북송 문화의 混種性과 이학문예심미

중국어문학지 | | 34 | 2010 | 중국어와문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Literati Painting and its Aesthetic Thought in Nothern Song- Centering on Aesthetic Eremitism of the Literati -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북송대 문인화론에 나타난 동양예술정신- 문인 계층의 미학적 은일주의를 중심으로 -

Literati Painting and its Aesthetic Thought in Nothern Song- Centering on Aesthetic Eremitism of the Literati -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