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효온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722

STNet ID : 1003109

한자 : 南孝溫
호(號) : 최락당(最樂堂)
호(號) : 추강(秋江)
호(號) : 행우(杏雨)
호(號) : 벽사(碧沙)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저작

추강집

육신전

생몰년_t

1454-149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생육신 () [ 生六臣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방외인 [ 方外人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인 [ 文人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우 [ 安遇 ]

「奈城誌」의 공간과 기억의 재구성

The space of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memo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奈城誌」의 공간과 기억의 재구성

The space of and the reconstitution of the memory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 초기 낙동강 중류 지역 사림의 문학사상 -점필재 김종직의 문학사상을 중심으로-

Literary Ideas of Midstream Sarim of Nakdong River in Early Chosun Dynasity

한국학논집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 낙동강 중류 지역 사림의 문학사상 -점필재 김종직의 문학사상을 중심으로-

Literary Ideas of Midstream Sarim of Nakdong River in Early Chosun Dynasity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전기 지성사의 관점에서 본 佔畢齋와 그 門人들의 관계 − 초기 士林의 형성과 관련하여

A Study on the Jumpiljae(佔畢齋) Kim Jong Jik(金宗直, 1431-492) and his followers on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intelligence history in the former period of Chosun dynasty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A Study on The 'Sohak Community'(sohakgye) and Confucian scholars concerned with it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경주사학 | 3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소학계’ 연구

A Study on The 'Sohak Community'(sohakgye) and Confucian scholars concerned with it in the former term of Choseon Dynasty

경주사학 | | 32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36 | 2010 | 역사학

18세기 ‘단종제신’ 포장의 확대와 ‘生六臣’의 성립

Honoring(褒獎) the Loyal Vassals of King Danjong(‘端宗諸臣’), and new management of their history, in the 18th century-Examination of the ‘6 loyal vassals who survived(生六臣)’

역사문화연구 | | 36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方外人의 산수유람 - 秋江 南孝溫을 중심으로 -

Outsider’s Landscape Sightsee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oogang Nam, Hyo-on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方外人의 산수유람 - 秋江 南孝溫을 중심으로 -

Outsider’s Landscape Sightsee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oogang Nam, Hyo-on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方外人의 산수유람 - 秋江 南孝溫을 중심으로 -

Outsider’s Landscape Sightsee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oogang Nam, Hyo-on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方外人의 산수유람 - 秋江 南孝溫을 중심으로 -

Outsider’s Landscape Sightsee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Choogang Nam, Hyo-on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육신전>과 <원생몽유록> - 충절의 인물과 기억서사의 정치학 -

“Yuksinjeon”and“Wonsaengmongyurok” - Politics of loyal figures and Memorial Narratives -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