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곡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4793

한자 : 李穀
호(號) : 가정(稼亭)

y01-01 실존인물

시대

고려시대 (高麗時代)

저작

[R] 가정집

이론/사상

경학 (經學)

생몰년_t

1298-1351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중보 [ 仲父 ]

UF (비우선어)

초명

 

운백 [ 芸白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인 [ 文人 ]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李穀과 鄭誧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A Study on Lee Gok and Jung Po Ci Poetry Writer’s Expressed of the Eight Sceneries in Ulsan City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李穀과 鄭誧의 詞에 투영된 “蔚州八景” 형상 考

A Study on Lee Gok and Jung Po Ci Poetry Writer’s Expressed of the Eight Sceneries in Ulsan City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Gajeong Igok's Pattern of Literary Exchange And Mental Conflict Represented in Poetry Written in Wo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稼亭 李穀의 在元期 詩에 나타난 交遊樣相과 精神的 葛藤

Gajeong Igok's Pattern of Literary Exchange And Mental Conflict Represented in Poetry Written in Wo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稼亭 李穀 散文의 文藝的 特徵

A Literary Feature Of Gajung Leegok`s Prose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穀의 詩世界와 自我意識

The literary view of the poet and self-consciousness.

漢文敎育硏究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穀의 詩世界와 自我意識

The literary view of the poet and self-consciousness.

漢文敎育硏究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詩文에 나타난 李穀의 세계관

Yi Gok's World Viewpoint Shown on his Poetry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