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 소설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8537

STNet ID : 1001741

한자 : 大河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소설 () [ 小說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영웅 소설 () [ 英雄小說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문 소설 [ 家門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역사 소설 () [ 歷史小說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앙드레 모루아 () [Maurois, André]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콜레라 시대의 사랑 [ --時代--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유이양문록 [ 劉李兩門錄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대 (소설) [ 三代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보은기우록 [ 報恩奇遇錄 ]

근대 초기의 풍속과 민족주의적 열정 -<성천강>(안수길)론-

The Customs and Nationalistic Inspiration of the Early Modern Ages in Korea -Study on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20 | 2010 | 인문학

대하소설의 환상성의 특징과 의미

Features and Meanings of Fantasy in River-Novels

고전문학과 교육 | | 20 | 2010 | 인문학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ufferings Formed in Ssangcheongibong(쌍천기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Sufferings Formed in Ssangcheongibong(쌍천기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운명과 초월의 서사 -<임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

Narrative of Fate and Transcendenc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of Female Sufferings in LimSsiSamdaerok-

고소설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the Women’s Sufferings in the Long Novels Dealing with Wanwolhoemaengyeon(완월회맹연)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34 | 2010 | 기타인문학

<유씨삼대록>의 예법(禮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tiquette of Yussisamdaerok

한국학연구 | | 34 | 2010 | 기타인문학

대하소설 속 여성 침묵의 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f women's silence in classic 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s and Meanings of Husbands' Violence Narratives in River-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남편 폭력담’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s and Meanings of Husbands' Violence Narratives in River-Novel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