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한몽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82

STNet ID : 1002742

한자 : 長恨夢
영어 : Janghanmong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이문구 (李文求)

시대1

현대 (現代)

장르/유형

장편소설 (長篇小說)

저작년_t

1970-1971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IngredientOf (인공물 전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창작과비평 () [ 創作--批評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금색야차 () [ 金色夜叉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소설 [ 新小說 ]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영화의 ‘풍경의 발견’: 연쇄극과 공간의 전유

Discovering the Landscape in Early Korean Cinema: Yeonsoekuk(連鎖劇) and Appreciation of Space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31 | 2010 | 미술

일제강점 초기 식민지 문화의 재편, 신문소설 삽화 <長恨夢>

The Reorganization of Culture during the Japanese early colonial period; Focus on Illustration of Serialized novel, Jang Han Mong

美術史論壇 | | 31 | 2010 | 미술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