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중화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57

STNet ID : 1004861

한자 : 獄中花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이해조 (李海朝)

저작년_t

191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소설 [ 新小說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별춘향전 [ --春香傳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춘향전 () [ 春香傳 ]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근대 조선어․조선문학의 혼종적 기원-「조선인의 심의」(1947)에 내재된 세 줄기의 역사

‘Hybrid Origin’ of Modern Language and Literature in Kore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 소설어의 재편과정과 번역 -게일(James Scarth Gale) <춘향전> 영역본(1917) 출현과 그 의미-

The Reorganization of 's novel language and its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