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의 누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6790

STNet ID : 1002969

한자 : 血--淚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이인직 (李人稙)

시대1

개화기 (開化期)

장르/유형

신소설 (新小說)

저작년_t

1906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한국 근대 문학 [ 韓國近代文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신문 연재 소설 [ 新聞連載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근대 문학 [ 近代文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만세보 [ 萬歲報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자유 결혼 [ 自由結婚 ]

RT (관련어)

 

x02-02 기간 기간

근대 계몽기 [ 近代啓蒙期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설중매 [ 雪中梅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자유종 [ 自由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은세계 [ 銀世界 ]

RT (관련어)

 

 

모란봉 [ 牡丹峰 ]

RT (관련어)

관련 작품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제국신문 [ 帝國新聞 ]

근대 계몽기 가족 내 부권의 변동과 외국 유학 - 신소설 『은세계』, 『혈의누』,『추월색』을 중심으로 -

Changing The Early Modern Period Family System and Studying Abroad in Sinsoseol: The Tear of blood, The Silver World, The Color of Moon in Fall.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계몽기 가족 내 부권의 변동과 외국 유학 - 신소설 『은세계』, 『혈의누』,『추월색』을 중심으로 -

Changing The Early Modern Period Family System and Studying Abroad in Sinsoseol: The Tear of blood, The Silver World, The Color of Moon in Fall.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편의 시대와 신소설

Shinsoseol in the age of the postal systems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친일 정치가로서 이인직의 위치와 합방 정국에서 그의 역할

The Position of Lee Injik as a Pro-Japanese Politician and His Activit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친일 정치가로서 이인직의 위치와 합방 정국에서 그의 역할

The Position of Lee Injik as a Pro-Japanese Politician and His Activities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Annex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인직 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성격연구 -프랑스 낭만파적 경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lodramatic Characteristics of the Novels of Lee In-Jik -Mainly with French the romanticists Trends-

국어국문학 | 1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화계몽기 문자/음성적 전통의 균열과 이인직의 언어의식 -「血의淚」의 고유명 玉蓮․옥연․옥련(옥년)을 중심으로

The Disturbance of Pronunciation in Chinese Character and Lee in-jik's Language Consciousness of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proper names, 玉蓮․Okyun․Okryun(Oknyun) in Blood Tears(「血의淚」)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