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연재 소설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194

STNet ID : 1000549

한자 : 新聞連載小說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신문 소설 [ 新聞小說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재 소설 () [ 連載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 [The Soil]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독신녀 [ 獨身女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적도 [ 赤道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사상의 월야 [ 思想─月夜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y02-01 문헌명 /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북향보 [ 北鄕譜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혈의 누 () [ 血--淚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슬픈 노래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난무

근대 계몽기 한ㆍ일 번역문학과 근대 독자층 비교 - <장한몽>과 <해왕성>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nslated Novels and Modern Reader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 focused on Janghanmong and Haewangsung -

어문학 | 117 | 2012 | 한국어와문학

소설의 모델, 독자, 작가 ― 이희철(李熙喆)의 문학적 행보에 대한 고찰

小説のモデル、読者、作家-李熙喆(イ⋅ヒチョル)の文学的軌跡についての考察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말봉의 『佳人의 市場』 개작과 여성운동

A Adaptation to Kim Mal-Bong's 『Cain's Market』 and Liberation for Female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진건 장편번역소설 「백발」 연구

Study on Hyun Jin-geon’s full-length translation novel Gray Hair

한국학연구 | 42 | 2012 | 기타인문학

부인의 일탈적 욕망과 단죄의 의미 연구 -정비석의 <자유부인>과 김승옥의 <강변부인> 비교 연구-

Study on meaning of deviated desire and indictment of Madame -Comparative study between Jeong Bi-seok's and Kim Seung-ok's

현대소설연구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작가 최인욱의 생애와 작품세계

Lifetime and Work World of Writer, Choi In Wook

돈암어문학 | 24 | 2011 | 국문학사

1920년대 문학과 영화의 영향관계에 관한 고찰 -영화소설의 등장과 그 배경-

1920年代における文学と映画の影響関係について ー映画小説の登場とその背景ー Study on Impact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n 1920s ―Emergence of Film-Novel and Its Background―

日本學硏究 | 33 | 2011 | 일본어와문학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 (2) -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2)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Second Half-year-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식민지 동화정책과 <매일신보> 문학연구(1) -전반기 연재소설의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Colony Assimilationism and [Maeilshinbo] Literature in 1920's (1) - Centered on the development of serial novel in the first half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8․15 해방 후 신문의 문화적 기능과 신문소설 - 식민유산의 해체와 전환을 중심으로

Cultural Function of a Newspaper and a Serial Story in a Newspaper Since 8․15, Korean Liberation - Focusing on the deconstruction and the conversion of colonization inheritance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金玉緣> 연구

A study on the kumokyun(金玉緣)

동방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이병주 소설의 원형으로서의 '내일 없는 그날'

“The Day without Tomorrow” as the Prototype of Lee Byeong Ju’s Novels

인문학연구 | 2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