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보

연구분야 : B190203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언론학/언론정보학 > 언론·정보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655

한자 : 萬歲報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귀의 성 [ 鬼--聲 ]

R2:기능적

hasReplacement (대체물)

 

 

대한신문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혈의 누 () [ 血--淚 ]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Western State Science and National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Focused on Official Journal of Cheondogyo, Newspaper Mansebo(萬世報)

교육철학연구 | 49 | 2010 | 교육학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 천도교 기관지『만세보(萬世報)』를 중심으로

Acceptance of Western State Science and National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Modern Civilization: Focused on Official Journal of Cheondogyo, Newspaper Mansebo(萬世報)

교육철학연구 | | 49 | 2010 | 교육학

근대 천도교의 의제개량운동과 『초등교서』에 나타난 도덕적 문명관

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the Modern Age in Seoul -Fucus on Cheondokyo-

서울과 역사 | 80 | 2012 | 역사학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s Media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개화기『萬世報』에 나타난 국민교육론 연구

Democratic theory and National Education of Newspaper Mansebo(萬世報) in the Flowering stage of modern civilization

한국교육사학 | 32 | 2 | 2010 | 교육학

개화기『萬世報』에 나타난 국민교육론 연구

Democratic theory and National Education of Newspaper Mansebo(萬世報) in the Flowering stage of modern civilization

한국교육사학 | 32 | 2 | 2010 | 교육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