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114 |
2010 |
역사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
114 |
2010 |
역사학
1907년 경성박람회의 개최와 성격
Opening and Nature of Gyeongseong Exposition in 1907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1907년 경성박람회의 개최와 성격
Opening and Nature of Gyeongseong Exposition in 1907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114 |
2010 |
역사학
대한제국기 언론의 ‘종교사회’ 인식
Recognition on the ‘Religious Society(宗敎社會)’ of the Press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역사교육 |
|
114 |
2010 |
역사학
한말 ‘민권’ 용례와 분기 양상
Examples of ‘Civil Righ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and Divergent Aspects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
1907년 경성박람회의 개최와 성격
Opening and Nature of Gyeongseong Exposition in 1907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1907년 경성박람회의 개최와 성격
Opening and Nature of Gyeongseong Exposition in 1907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雜歌와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동아시아 3국 근대 민권운동의 보편성과 특수성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modern civil right movement in East Asia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 말기『국민신보』의 특성과 역할:민족지와의 대립 관계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Kookmin Shinbo’ in the End of the Daehan Empire Focusing on the Confronting Relationship with Nationalistic Newspapers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
대한제국 말기『국민신보』의 특성과 역할:민족지와의 대립 관계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Kookmin Shinbo’ in the End of the Daehan Empire Focusing on the Confronting Relationship with Nationalistic Newspapers
한국언론학보 |
56 |
2 |
2012 |
신문방송학
1890~1900년대 ‘演劇’의 번역어 양상과 연극인식 연구 - 『韓英·英韓字典』, 『韓英字典』, 『皇城新聞』,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pect and Recognision on a ‘Play’ : 1890-1900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1890~1900년대 ‘演劇’의 번역어 양상과 연극인식 연구 - 『韓英·英韓字典』, 『韓英字典』, 『皇城新聞』,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pect and Recognision on a ‘Play’ : 1890-1900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립신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독립신문 코퍼스 활용 사례연구
The Concept Analysis Related to Journalism of the Editorials in The Independent(The Doklip Shinmoon):A Case Study of the Corpus Utilization
한국언론학보 |
55 |
5 |
2011 |
신문방송학
『만세보』의 <독자투고란>과 근대 대중문학의 형성-이인직의『혈의 누』와『귀의 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 the Newspaper and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Popular Literature - focused on Lee In-jik's novels, Tears on Blood or the Sound of Ghost -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1890~1900년대 ‘演劇’의 번역어 양상과 연극인식 연구 - 『韓英·英韓字典』, 『韓英字典』, 『皇城新聞』,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pect and Recognision on a ‘Play’ : 1890-1900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1890~1900년대 ‘演劇’의 번역어 양상과 연극인식 연구 - 『韓英·英韓字典』, 『韓英字典』, 『皇城新聞』,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lation Aspect and Recognision on a ‘Play’ : 1890-1900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 국문 논설의 언론 관련 개념 분석 : 대한매일신보 논설 코퍼스 활용 사례연구
The Concept Analysis related to Journalism of the Korean Editorials in The Daehan Maeilsinbo : A Case Study of the Corpus Utilization
한국언론학보 |
55 |
2 |
2011 |
신문방송학
근대 초기 독자층의 형성과 매체의 역할-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in Early Modern Era and the Modern Media-Focused on 'Korea daily new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초기 독자층의 형성과 매체의 역할-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in Early Modern Era and the Modern Media-Focused on 'Korea daily new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회등가사 저자로서의 신채호
Shin Chae-ho as a Writer of Sahwedeung-gasa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얼빈 사건’에 대한 대한매일신보의 여론 형성 연구
A Study of making public opinion of Daehan Maeil Sinbo about ‘Harbin incident'
韓國史學報 |
42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