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문예

연구분야 : A100300 인문학 > 문학 > 문예창작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40

한자 : 懸賞文藝
영어 : Literary contest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시문독본 [ 時文讀本 ]

RT_X (관련어►)

관련 잡지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개벽 () [ 開闢 ]

RT_X (관련어►)

관련신문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대한매일신보 () [ 大韓每日申報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c03-03 문화/생활 /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신춘문예 [ 新春文藝 ]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매일신보』의 <편편기담>과 ‘쓰는 독자’의 출현

A study on > in the newspaper and the Appearance of "Writing reader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비제도권 문학교육의 양상 -독서·동인·동인지·멘토·문예강연·현상문예-

Aspects of the Noninstitutional Literary Education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문학교육학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Dongailbo and Shijo Canon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