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벽

연구분야 : A110201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국문학사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83

STNet ID : 1000071

한자 : 開闢
기타 : Gaebyeok

y02-03 신문/잡지명

장르/유형

잡지 (雜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한문 혼용 [ 國漢文混用 ]

P:개념속성연관

hasCreator (창작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천도교 () [ 天道敎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연속간행물 () [ 連續刊行物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월간지 () [ 月刊誌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후천개벽 () [ 後天開闢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광수 () [ 李光洙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신경향파 () [ 新傾向派 ]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항일 운동 () [ 抗日運動 ]

RT_Y (◄관련어)

관련 잡지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현상문예 [ 懸賞文藝 ]

RT_Y (◄관련어)

수록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붉은 쥐 [red mouse]

RT_Y (◄관련어)

수록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돈화 [ 李敦化 ]

천인관계로 살펴본 천도교 영성의 의미와 성격

On the Meaning and Character of Spirituality in Chondo-gy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종교교육학연구 | 36 | 2011 | 종교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염상섭 초기 소설의 변화 과정 고찰 ― 매체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for Changes of Initial Novel of Yeom Sang-Seop ― Centered on Correlationship with Media ―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heaven and Post-heaven Trade and Choe Suwoon's Dasi-gaebyeok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heaven and Post-heaven Trade and Choe Suwoon's Dasi-gaebyeok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 개창자의 탄생설화와 종교문화

The Founder's Birth-faith of the New-religion and Religious Culture in Korea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2) - 1925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2)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25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광주학생운동 이전 동맹휴학의 성격

Characteristics School Strike before Gwangju Student Movement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heaven and Post-heaven Trade and Choe Suwoon's Dasi-gaebyeok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역학의 선후천과 최수운의 ‘다시개벽’ -『주역』과 『정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Pre-heaven and Post-heaven Trade and Choe Suwoon's Dasi-gaebyeok

신종교연구 | 22 | 22 | 2010 | 종교학

19세기 민족종교의 형성과 ‘남조선 사상’

The Emergence of Korean Religions and The Thoughts of 'South-Chosun' in the 19th Century

사회사상과 문화 | 22 | 2010 | 사회학

19세기 민족종교의 형성과 ‘남조선 사상’

The Emergence of Korean Religions and The Thoughts of 'South-Chosun' in the 19th Century

사회사상과 문화 | | 22 | 2010 | 사회학

원불교의 후천개벽(後天開闢) 세계관

The Won-Buddhist View of the Great Opening Era of the Latter Heave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4 | 2010 | 원불교학

원불교의 후천개벽(後天開闢) 세계관

The Won-Buddhist View of the Great Opening Era of the Latter Heaven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 44 | 2010 | 원불교학

최제우의 민주적 리더십에 내재된 니체적 허무주의의 요소

Die Elemente des Nietzscheschen Nihilismus in dem de-mokratischen Leadership bei Choi, Je-Woo

동학학보 | 21 | 2011 | 역사학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Formation of a New Perception of the Tonghak Peasant War during the 1920s-30s

사림 | 36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새로운 ‘동학농민전쟁상’의 형성

Formation of a New Perception of the Tonghak Peasant War during the 1920s-30s

사림 | | 36 | 2010 | 역사학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s Media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s Media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기 근대소설의 발흥과 천도교 매체의 역할

The Rise of Modern Novel and the role of Chundogyo(天道敎)'s Media in Colonial Korea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최제우의 민주적 리더십에 내재된 니체적 허무주의의 요소

Die Elemente des Nietzscheschen Nihilismus in dem de-mokratischen Leadership bei Choi, Je-Woo

동학학보 | 21 | 2011 | 역사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천리의 세(世)와 계(界) -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sub-society and world in Samcholi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타고르 시의 수용과 小波 方定煥의 위치

Acceptance of Tagore's Poems and the Position of Sofa, Bang Jeung Hwan in the 1920's

인문연구 | 63 | 2011 | 기타인문학

잡지 [조광]을 통해 본 ‘광고’의 위상 변화 -광고는 어떻게 ‘지(知)’가 되었나

The status transition of Ads according to magazine Jogwang - How did the ‘Ad’ become a useful commmodity?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잡지 [조광]을 통해 본 ‘광고’의 위상 변화 -광고는 어떻게 ‘지(知)’가 되었나

The status transition of Ads according to magazine Jogwang - How did the ‘Ad’ become a useful commmodity?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三千里』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설문과 순례의 서사들

The Nationless Politics of Text and The Narratives in Samchunli: Survey and Pilgrimage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The Reconsideration of Lee Sang Hwa's What Spring Comes Wrenched Field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 -잡지 『개벽』을 중심으로-

The Reconsideration of Lee Sang Hwa's What Spring Comes Wrenched Field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조선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Writing Strategy of Colonial Period and "GaeByeok" -Focused on 「Basic Investigation of Chosun Culture」-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조선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Writing Strategy of Colonial Period and "GaeByeok" -Focused on 「Basic Investigation of Chosun Culture」-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조선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Writing Strategy of Colonial Period and "GaeByeok" -Focused on 「Basic Investigation of Chosun Culture」-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글쓰기의 전략과 「개벽」 -「조선문화의 기본 조사」를 중심으로-

Writing Strategy of Colonial Period and "GaeByeok" -Focused on 「Basic Investigation of Chosun Culture」-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전반 비평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재정립 - 개벽과 조선문단을 중심으로 -

1920年代前半批評に現れた小説の概念の再定立 -開闢と朝鮮文壇を中心にして-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전반 비평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재정립 - 개벽과 조선문단을 중심으로 -

1920年代前半批評に現れた小説の概念の再定立 -開闢と朝鮮文壇を中心にして-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The Korean People's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開闢) and Beolgeongon (別乾坤) Magazines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전반 비평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재정립 - 개벽과 조선문단을 중심으로 -

1920年代前半批評に現れた小説の概念の再定立 -開闢と朝鮮文壇を中心にして-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전반 비평에 나타난 소설 개념의 재정립 - 개벽과 조선문단을 중심으로 -

1920年代前半批評に現れた小説の概念の再定立 -開闢と朝鮮文壇を中心にして-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벽』과 『별건곤』을 통해본 한국인의 한국자랑

The Korean People's Sources of Pride Shown in Kaepyuk (開闢) and Beolgeongon (別乾坤) Magazines

인문과학연구 | 3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