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한문 혼용

연구분야 : A11011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정책론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5

한자 : 國漢文混用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언어 정책 () [ 言語政策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한문체 [ 國漢文體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이태리건국삼걸전 [ 伊太利建國三傑傳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신문계 [ 新文界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동화대집 [ 朝鮮童話大集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월남망국사 [ 越南亡國史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개벽 () [ 開闢 ]

근대 담론 형성과 국문운동 연구

The Formation of Modern Discourse and a Study of Korean Language Movement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화기 교육수단으로서의 국문 및 국한문혼용 정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Korean and Korean mixed with Chinese characters' Establishment as a means of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한국교육사학 | 34 | 2 | 2012 | 교육학

고소설의 표기방식

Style of Korean Old Novel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