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한문체

연구분야 : A11011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 국어정책론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944

STNet ID : 1000171

한자 : 國漢文體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2 기간 기간

근대 계몽기 [ 近代啓蒙期 ]

S:동의

UF (비우선어)

 

 

국한문 혼용체 [ 國漢文混用體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체 () [ 文體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한문 혼용 [ 國漢文混用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신찬척독완편 [ 新撰尺牘完編 ]

isMethodOf (방법/기법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전관산전 [ 全寬算傳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몽견 제갈량 [ 夢見 諸葛亮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도덕가 [ 道德歌 ]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서유견문 () [ 西遊見聞 ]

石顚 朴漢永의 불교적 문학관

Buddhistic view of literature of Seokjun Han-Young Park(石顚 朴漢永)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石顚 朴漢永의 불교적 문학관

Buddhistic view of literature of Seokjun Han-Young Park(石顚 朴漢永)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개화기 신문과 잡지 자료의 국어사적 현황과 분류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Classification of Newspapers and Magazines in Modernization Period of Korea

국어사연구 | 13 | 2011 | 국어사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유학생 잡지의 문체와 한글체 소설의 형성 과정-『여자계』를 중심으로-

The Role of Modern Korean Magazine YeoJaGae in the Formation of the Korean Narrative-Focus on Shifts in Writing Style-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초, 한일 “실용작문”의 경계

The Topography of “Practical Compos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n Early 1910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작문교본, 『실지응용작문대방(實地應用作文大方)』 의 국한문체 글쓰기와 한문전통

Korean-Chinese Writing and the Editorial Process of a Rhetoric Manual, Siljiungyongjakmundaebang in 1920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진구 야담의 형성과 문체

The Formation and Writing Style of Kim Jin-gu's Historical Tales

민족문화논총 | 51 | 2012 | 기타인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朝鮮光文會告白)」 검토

The Modern Reproducing of Classics and Choe Namson’s Korean-Chinese Style: About Josongwangmunhoe Bookle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의 근대적 재생산과 최남선의 국한문체 글쓰기「조선광문회고백(朝鮮光文會告白)」 검토

The Modern Reproducing of Classics and Choe Namson’s Korean-Chinese Style: About Josongwangmunhoe Bookle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대한민보』의 문체상황과 독자층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ndition of language style and the readers of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