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계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7665

STNet ID : 1004867

한자 : 新文界

y02-03 신문/잡지명

저작자

다케우치

장르/유형

월간지 (月刊誌)

저작년_t

1913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무단통치 [ 武斷統治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학생 () [ 學生 ]

hasMethod (방법/기법)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국한문 혼용 [ 國漢文混用 ]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관 출판 활동의 구조적 측면 연구(2)-서적 목록과 광고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Side of Sinmungwan’s Publishing Activity(2)-focusing on the book’s catalog and advertisement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The Short-story which is planned of Japanese publication media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The Short-story which is planned of Japanese publication media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The Short-story which is planned of Japanese publication media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인 발행 미디어의 기획된 단편소설

The Short-story which is planned of Japanese publication media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시장의 형성과 인쇄매체의 역할 (1): 1917년 전후의 문학사의 국면

FORMATION OF LITERARY MARKETPLACE AND ROLES OF PRINT MEDIA (1) : THE SITUATION OF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ROUND 1917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잡지 매체의 언어 선택과 근대독자의 형성과정

The literary style in the 1910s' magazine and the formation of modern readers.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작문교육과 한문고전: '신문계(新文界)'의 독자투고 문장

Writing Education and Classics in Classical-Chinese in 1910s: About the Correspondence Column in The World of New Culture[新文界]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