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개벽

연구분야 : A041200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자생종교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4057

STNet ID : 1001070

한자 : 後天開闢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개벽사상 () [ 開闢思想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무극대도 () [ 無極大道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개벽 () [ 開闢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정역 () [ 正易 ]

RT (관련어)

 

 

인내천 [ 人乃天 ]

제6장 최제우의 동학에 나타난 실천철학

Practical Philosophy of Choe Je-Woo implied in Donghak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6장 최제우의 동학에 나타난 실천철학

Practical Philosophy of Choe Je-Woo implied in Donghak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동학의 인식과 존재의 변증법:평화와 통일사상의 실천적 논의

The Dialectic of Cognition and Being in Donghak: A Practical Discussion of Peace and Unification Thought

동학학보 | 20 | 2010 | 역사학

동학의 인식과 존재의 변증법:평화와 통일사상의 실천적 논의

The Dialectic of Cognition and Being in Donghak: A Practical Discussion of Peace and Unification Thought

동학학보 | | 20 | 2010 | 역사학

니체의 영겁회귀 관점에서 바라본 후천개벽의 존재론적 특성

Die Charakteristik des 2nd Gaebyeoks hinsichtlich der Wiederkunftslehre Nietzsches

동학학보 | 23 | 2011 | 역사학

수운의 이상사회론 -개벽과 청우당의 이상국가를 중심으로

The Utopian Society of Suun and Renovation of Chungwoodang

동학학보 | 21 | 2011 | 역사학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정착과 그 한계: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New Religions in Modern Korea, Their Establishment and Limitation as Modern Religions: Focusing on the Idea of Gaebyeok

종교문화비평 | 22 | 22 | 2012 | 종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