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문단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044

STNet ID : 1003049

한자 : 朝鮮文壇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한설야 (1900-?) [ 韓雪野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광수 () [ 李光洙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족 문학 () [ 民族文學 ]

RT (관련어)

작품/발표매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홍염 [ 紅焰 ]

총동원체제하의 최재서의 일본어소설

戦争と歴史: 総動員体制における崔載瑞の日本語小説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월평의 형성 과정과 월평 방식의 변화 양상

The Formation of Monthly-review and Changable aspects of Critical Method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문학적 글쓰기론의 전개 과정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Theory about Literary Wor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운과 1920년대 현대시조의 형성

Jo Un and Formation of Modern Sijo in 1920's

한국민족문화 | 40 | 2011 | 기타인문학

‘번역’을 둘러싼 제국일본과 식민지조선의 정치학: 1940년대 일본에 소개된 조선소설을 중심으로

Politics of Empire Japan and Chosun : Based on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문예지의 선후감 및 월평 연구 ― ≪朝鮮文壇≫·≪開闢≫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nel’s Commentary and Monthly Review of Literary Magazine in 1920s ―Focusing on Joseon Mund'an and GaeByeok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