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문학

연구분야 :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48

STNet ID : 1000382

한자 : 民族文學
독일어 : Nationalliteratur
영어 : national literatur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보수 혁명 () [ 保守革命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족문화 [ 民族文化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조선문단 [ 朝鮮文壇 ]

RT (관련어)

 

 

민족 문학사 [ 民族文學史 ]

RT (관련어)

 

x02-01 시대 시대

미군정시대 (1945-1948) [ 美軍政時代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트랜스내셔널리즘 [Transnationalism]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민족어 [ 民族語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수길 [ 安壽吉 ]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민중 문학 () [ 民衆文學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민족문학론 [ 民族文學論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태평천하 () [ 太平天下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임꺽정 [ 林巨正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대 (소설) [ 三代 ]

4.19세대의 주체성 정립과 민족문학론으로의 도정- 196,70년대 염무웅 비평론

A Study on Yeom, Mu-ung's Literary Criticism in 1960-7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셍고르와 세제르의 시에 나타나는 프랑스 언어의 정체성과 피식민국 민족문학의 정체성 — 『시집』과 『귀향수첩』을 중심으로

Les identités de la langue française et de la littérature nationale coloniale, dans les poèmes de Senghor et de Césaire — sur les Poèmes et le Cahier d’un retour au pays natal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시의 정전화 양상 -≪시집≫과 ≪현대조선명시선≫을 중심으로-

The Canonizing Features of the Poem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focusing on the and the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日帝 强占期 漢詩 小考

The Study about the Chinese Poetry in the Japanese Ruling Era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The Competition Concerning Appropriation of ‘Things Korean’ : Revival of Nation, Theory of Indigenous Development and Trace of Popular Cultur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Nation and State in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Nation and State in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의 만주조선인 문학 소고

日本時代の滿洲朝鮮人文學一考察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의 만주조선인 문학 소고

日本時代の滿洲朝鮮人文學一考察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18, 19세기 셰익스피어 우상화(bardolatry)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ardolatry

국제언어문학 | | 21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루쉰, 춘원과 일본 근대초기의 사소설

Lu Xun, Chunwon and Japanese I-novels in the Beginning Period of Modern Times

아시아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황석영 소설의 ‘한국’ 번역과 혼종성: 『손님』을 중심으로

Cultural Translation of ‘Korea’ and Hybridity in Hwang, Sok-yong’s Novel ―Focused on The Guest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Probleme des Ethnozentrismus bei der Übersetzung -Eine historische Betrachtung

번역에 있어서의 자국민 중심주의 -역사적 고찰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Probleme des Ethnozentrismus bei der Übersetzung -Eine historische Betrachtung

번역에 있어서의 자국민 중심주의 -역사적 고찰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가람의 문학사 서술 시각과 방법 ― <국문학전사>의 <고전문학사>와 <국한문학사>를 중심으로 ―

Perspective and Method on the Description of the Garam's History of Literature ― Around th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n 'Gukmunhakchunsa' ―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발턴의 생활글과 민족문학론의 재구성

The Writings of Subaltern and Reconstruction of National Literature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지역어와 지역문학

A Reg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강원영동지역문학 연구 -탈식민의 계보학적 탐구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Gangwon-Yeongdong Regional Literature

한어문교육 | 24 | 2011 | 국어교육

불교전래 과정의 서사문학적 수용과 그 의미 -≪삼국유사≫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iterary sense an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 Focused on the tale of Samkookyoosa -

한국언어문학 | 7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민문학’의 문제

The Problem of Kokumin Bungaku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문학 연구의 역사주의적 전환과 전망

The Prospect about Korean Colonial Literature Studies' Transformation by Historicism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학에서의 트랜스내셔널 패러다임 민족문학론과 세계문학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Transnational Paradigm in Literature: Issues in Discourses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역사와 문화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문학에서의 트랜스내셔널 패러다임 민족문학론과 세계문학론의 쟁점을 중심으로

Transnational Paradigm in Literature: Issues in Discourses of National Literature and World Literature

역사와 문화 | | 20 | 2010 | 문화사(역사학)

임화의 민족문학론과 언어론

A Study on Limhwa'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Language in Late Colonial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해방기 좌익측 민족문학론의 인민성담론과 초코드화

The Overcoding of the Discourses of the People of National literary theory of Left-wing writers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예』의 민족문학과 휴머니즘

'Humanism' and National Literature of the 『Munye』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 90년대 이후 한국문학 담론지형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고찰

National Literature, World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세계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 90년대 이후 한국문학 담론지형의 변화에 대한 시론적 고찰

National Literature, World Literature, Diaspora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