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화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문화/생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50

STNet ID : 1000383

한자 : 民族文化

c03-03 문화/생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화 () [ 文化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족 문학 () [ 民族文學 ]

hasIssue (이슈/주제)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민족 정체성 () [ 民族正體性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민족 문화 운동 [ 民族文化運動 ]

RT (관련어)

 

 

민족 문화론 [ 民族文化論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민족 () [ 民族 ]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문화적 의미 중화문명권으로의 진입과 탈출을 중심으로

Cultural Significance of Vernacular Translation Project in Early Joseon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1950년대 민족문화 재건 담론과 ‘우수영화’

The National Culture Discourse and the 'Superior Film' in the 1950's

역사비평 | 94 | 2011 | 역사학

1940~1950년대 조선 비교문학에 관한 고찰

A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n DPRK in the 1940~50s

한국학연구 | 24 | 2011 | 기타인문학

檀君神話 小考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tructure in the Legend of Tan-gun

사림 | 41 | 2012 | 역사학

북한 노래의 탄생 -사회주의체제 형성기 인민가요 성립 고찰-

The Making of the People’s Songs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Musical Nation-Building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Socialist System ─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汉语成语与汉民族文化

The Chinese Han Idiom and Culture of the Chinese Nation

한중인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汉语成语与汉民族文化

The Chinese Han Idiom and Culture of the Chinese Nation

한중인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변불교문화에 대한 역사적 성찰

Reflect on the Buddhist Culture in Yanbian Region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

독일 제 3제국의 디자인 - 민족주의 디자인의 유혹과 폭력 -

Design in the German Third Reich - Fascination and Violence of Nationalistic Design -

디자인학연구 | 24 | 2 | 2011 | 디자인

民俗文化의 傳承과 再創造에 대한 試考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and Its Resurgence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民俗文化의 傳承과 再創造에 대한 試考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olk Culture and Its Resurgence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구비문학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 ‘호랑이설화’를 예로 들어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 Focusing on Korean Tiger Tales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구비문학의 성격과 민족문화의 정체성 ― ‘호랑이설화’를 예로 들어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the Identity of National Culture ― Focusing on Korean Tiger Tales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러시아 국가 이미지에 관한 연구: 20~30대 한국 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Russia’s National Image

슬라브硏究 | 27 | 4 | 2011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