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연구분야 : B110400 사회과학 > 인류학 > 인종및민족

클래스 : 민족/인종/종족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4641

한자 : 民族
영어 : nation

a01-04-01 민족/인종/종족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4-06 공동체 공동체

민족 공동체 [ 民族共同體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민족사 [ 民族史 ]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민족문화 [ 民族文化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민족적 맥락 [ 民族的脈絡 ]

RT (관련어)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민족 모순 [ 民族矛盾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민족 해방 [ 民族解放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민족 포럼 [ 民族--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민족 문화 운동 [ 民族文化運動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민족 정책 [ 民族政策 ]

RT (관련어)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민족 개념 [ 民族槪念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민족 운동 [ 民族運動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영속주의 () [ 永續主義 ]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한국사’ 상의 조선시대상 -조선전기를 중심으로

Imagining the Chosŏn Period and the Construction of “Korean History(kuksa)”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헌법과 국가정체성

Constitution et Identité de l’État

서울대학교 법학 | 52 | 1 | 2011 | 법학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Forms of Korean War Memory in the view of point of Transwar-history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이후의 탈식민주의 ― 설정식 시를 중심으로 ―

After the colony, post-colonialism ― On Seol Jung-Sik's poetry ―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순남 문학비평 연구

A Study on Kim Sun-nam's Literary Criticism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순남 문학비평 연구

A Study on Kim Sun-nam's Literary Criticism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손창섭 『落書族』의 ‘껍데기/알맹이’의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empty/substance’ Son Chang-seob's 『Nak-se-j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이데거의 민족사회주의적 정치신학 - 「독일 대학의 자기 주장」(1933)을 중심으로 -

Die politische Theologie im Heideggerschen Nationalsozialismus

동서철학연구 | 57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민족사회주의적 정치신학 - 「독일 대학의 자기 주장」(1933)을 중심으로 -

Die politische Theologie im Heideggerschen Nationalsozialismus

동서철학연구 | | 57 | 2010 | 철학

하이데거와 민족사회주의의 문제

Heidegger und das Problem des Nationalsozialismus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하이데거와 민족사회주의의 문제

Heidegger und das Problem des Nationalsozialismus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반도(半島)사관의 극복과제와 해륙(海陸)사관의 제언

Challenging tasks of ‘The peninsulahistorical view' and proposals(implication) of ‘The land and the sea historical view'

단군학연구 | 25 | 25 | 2011 | 기타역사학

해방기 사회의 타자와 동아시아의 얼굴 - 해방기 소설에 표상된 상해에서 온 이주자 -

The Other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Face of East Asia -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represented in the novel of Liberation Period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 운동회의 기능과 표상

The representations of athletic games during the period of Daehan Empire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 운동회의 기능과 표상

The representations of athletic games during the period of Daehan Empire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기능 그리고 정치적 함의

The Acception and Function of Liberalism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19th century Korea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대중지의 ‘역사’ 수용 방식과 글쓰기 전략 - 『별건곤』을 중심으로

The Pattern of Embracing ‘History’ and the Writing Strategies of Modern Popular Magazines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Hegels Ansicht von Volk, Staat und Weltgeschicht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소년』의 ‘영웅’ 서사와 동아시아적 맥락

Heroes in Sonyen(『少年』) and the East Asian Context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일교육 방향성 연구

A Study of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일교육 방향성 연구

A Study of the Orient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평화학연구 | 11 | 4 | 2010 | 정치외교학

니체의 역사이해

Nietzsches Historieverstehen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모윤숙과 노천명 시에 나타난 ‘해방’과 ‘전쟁’ -해방이후부터 전쟁까지의 시를 중심으로-

‘Liberation’ and ‘War’ in the Poems of ‘Mo,Yoon-sook’ and ‘No, Chun-myung’ - focused on their poem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the war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 한인문학의 특장(特長)과 균열의 틈새 - ‘문예동’ 소설의 전개 양상과 특성을 중심으로

Japanese korean literature's forte and a gap of crack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Images in Novels Written by Chinese-Korean

한중인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Images in Novels Written by Chinese-Korean

한중인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좌익측 민족문학론의 인민성담론과 초코드화

The Overcoding of the Discourses of the People of National literary theory of Left-wing writers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한국 근대 新語 연구(1920년~1936년) -일상·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Research of modern neologism in Korea(1920~1936) - Centered on daily life & cultural context -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다케우치 요시미 사상의 원점 : 루쉰을 단서로

竹内好思想の原点  : 魯迅を手がかりとして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다케우치 요시미 사상의 원점 : 루쉰을 단서로

竹内好思想の原点  : 魯迅を手がかりとして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러‧한 관용어에 나타난 여성의 양상

Women's Image in Russian and Korean Idioms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한․일 양국의 국가와 민족 속의 100년-고대한일관계사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100 years in a Korean and the Japanese

일어일문학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한․일 양국의 국가와 민족 속의 100년-고대한일관계사의 형성과 전개를 중심으로-

100 years in a Korean and the Japanese

일어일문학 |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6 | 2010 | 일본문화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6 | 2010 | 일본문화학

재일 신세대 작가의 새로운 방향 모색 -가네시로 가즈키의 작품을 중심으로

A Pursuit for New Direction in New Generation of Korean Writers in Japan : Centering on Kaneshiro Kazuki’s Works

다문화콘텐츠연구 | 12 | 2012 | 기타사회과학일반

탄허의 시대인식과 종교관

Tan huh's recognition of period and religious view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다문화가족통합을 위한 법제 연구 -한일비교-

A Study on the Legal System for Multi-Culture Family Integration -korea and japan

공법학연구 | 11 | 1 | 2010 | 법학

다문화가족통합을 위한 법제 연구 -한일비교-

A Study on the Legal System for Multi-Culture Family Integration -korea and japan

공법학연구 | 11 | 1 | 2010 | 법학

일제의 인구 조사와 인구 통치: 1908-1936년 재만 일본영사경찰의 인구 집계 자료를 중심으로

Population Control under the Imperial Japan; Population Enumeration by Japan Embassy Police in Manchu, 1908-1936.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미얀마 꺼잉족(Kayin)의 종족성 변화와 그 현대적 의미

The Recent Change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of Ethnic Identities of Kayin in Myanmar.

동남아시아연구 | 22 | 1 | 2012 | 지역학

아프리카와 민주주의: 세네갈 사례의 역사 및 전략적 분석

Africa and Democracy: Historical and Strategic Analysis of the Senegalese Case

국제.지역연구 | 21 | 3 | 2012 | 정치외교학

『베니스의 상인』에 나타난 ‘개종’의 문제: 제시카를 중심으로

Jessica's Conversion and Jewishness in The Merchant of Venice

중세근세영문학 | 22 | 1 | 2012 | 영어와문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16 | 2010 | 일본문화학

일국민속학(一國民俗學)의 단일민족론과 민족통합

一國民俗學の單一民族論と民族統合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 16 | 2010 | 일본문화학

해방과 한국의 정치적 개신교

Liberation and Political Protestant of Korea in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신학논단 | 69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백석 시와 이중섭 그림에 나타난 대이상향(大理想鄕)의 세계

On the great ideal world presented in poet Baek, Seok and artist Lee, Jung Seop’s work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The Topology of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상허학보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The Topology of April Uprising and May 16 Coup-d'état

상허학보 | 30 |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Social Control Mechanism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동방학지 | 150 | 2010 | 기타인문학

박정희 시대 전통의 재창조와 통치체제의 확립

Revitalization of Traditional Social Control Mechanism and Political Stabilit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동방학지 | | 150 | 2010 | 기타인문학

맹인, 절뚝발이, 외팔이-전후 동아시아 영화의 신체

Blindness, Lameness and One-armedness The Physical Disabilities presented in East Asian Cinema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공/사 분할의 전치(轉置)와 문학적 주체의 정치성 —이광수 초기 문학, 문학론 재독(再讀)(1)—

Displacement of Public/private Division and Politics of Literary Agent in 1910 —Reread of early literature and comments on literature of Lee, Gwang-Soo(1)

반교어문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일조선인과 디아스포라 담론

在日朝鮮人とディアスポラ言説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와 비평

Korean Culture and Dance Criticism Early in the 1990s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20세기 전반 한국의 춤 문화와 비평

Korean Culture and Dance Criticism Early in the 1990s

한국무용연구 | 28 | 2 | 2010 | 기타무용

초․중학교에서의 민족공동체교육 활성화 방안

A Study on Analysis of Teaching an Ethnic Community Spirit in Elementary & Middle School Textbook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顧頡剛과 孫晉泰의 歷史認識

顧頡剛和孫晉泰的歷史認識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국내 이주 외국인 근로자들의 여가에 대한 연구 - 민족과 여가제약의 관점에서 -

Leisure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thnicity and Leisure Constraint Thesis

관광학연구 | 35 | 5 | 2011 | 관광학

단재 신채호와 역사의 발견

Danjae Shin, Chae-ho and the Discovery of Histor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Multicultural Lesson Unit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와 정치적 함의

Spy Sto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South Korean Liberation Days (August 1945~August 1948)

역사학연구 | 41 | 2011 | 역사학

The Political Nature of the Oriental Discourse of the Hwangsŏng sinmun: With a Special Focus on the Notion of an Oriental Identity

『황성신문』동양담론의 정치성- 동양의 정체성 구상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1950's~1960's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1950's~1960's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인 사형수’를 둘러싼 전유의 구도: 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과 일본/‘조선’

Appropriation of 'Korean Condemned Prisoner' Identity: A Study of Discourse on Komatsugawa Incident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재일조선인과 디아스포라 담론

在日朝鮮人とディアスポラ言説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1920년대 민요담론의 타자성 연구

Otherness of the folk discourse in 1920s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지의 섬’의 민족 문제-영토와 신체

「基地の島」における民族の問題 ― 領土と身体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독일 축구영화 <베른의 기적>과 집단적 정체성의 문제

Der Fußballfilm Das Wunder von Bern und das Problem der kollektiven Identität

카프카 연구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집단추모의 한 양식: 예이츠의 「1916년 부활절」

“Easter 1916”: A Yeatsian Mode of Group Elegy

한국 예이츠 저널 | 33 | 2010 | 영어와문학

집단추모의 한 양식: 예이츠의 「1916년 부활절」

“Easter 1916”: A Yeatsian Mode of Group Elegy

한국 예이츠 저널 | | 33 | 2010 | 영어와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이념형적 접근에 기초한 막스 베버 “국가관”의 이해

Understanding of M. Weber's theory of state based on Ideal type

인문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을 기억하는 문학적인 방식 -1940년대 중반 기념시집을 중심으로-

A Literary Method Remembering Nation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의 기억과 일본 현대 아동문학 - 전후 일본 아동문학 상황과 시카타 신의 조선체험

A War Juvenile Literature and Sikatasin' Chosun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대중문화영웅의 변모과정 고찰 -최승희를 중심으로-사이의 갈등과 융합

Research to shaping processes Public hero in Colonial era -Centrally discuss to Choi, Senghee-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Tradition and Discourse: including the propose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Tradition and Discourse: including the propose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중국의 ‘문명/화’ 담론과 ‘언어’론에 대한 검토

關于近代中国的‘文明/化’谈论与‘语言’论检讨

중국어문논역총간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20세기 초 중국의 ‘문명/화’ 담론과 ‘언어’론에 대한 검토

關于近代中国的‘文明/化’谈论与‘语言’论检讨

중국어문논역총간 | | 27 | 2010 | 중국어와문학

≪萬寶山≫, 주체의 탄생과 이동

The birth of subject and moving in Manbaoshan

중국학논총 | 32 | 2011 | 중국어와문학

雲南省 彝族 自治縣의 比較分析을 통한 少數民族의 實態 硏究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어와문학

‘기지의 섬’의 민족 문제-영토와 신체

「基地の島」における民族の問題 ― 領土と身体

사이間SAI | 10 | 2011 | 기타국문학

식민지의 기억과 일본 현대 아동문학 - 전후 일본 아동문학 상황과 시카타 신의 조선체험

A War Juvenile Literature and Sikatasin' Chosun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단재 신채호의 역사사상에 관한 연구

Danjae Sin Chae-ho's Idea of History

민족사상 | 5 | 2 | 2011 | 한국정치사상

한류와 자이니치

The Korean Wave and Zainichi

日本學(일본학) | 32 | 2011 | 기타인문학

‘민족’의 소리에서 ‘제국’의 소리로 - 민요 수집으로 본 근대 일본의 민요 개념사 -

「民族」の声から「帝国」の声へ-民謡蒐集からみる近代日本の民謡概念史-

일본연구 | 44 | 2010 | 일본어와문학

‘민족’의 소리에서 ‘제국’의 소리로 - 민요 수집으로 본 근대 일본의 민요 개념사 -

「民族」の声から「帝国」の声へ-民謡蒐集からみる近代日本の民謡概念史-

일본연구 | | 44 | 2010 | 일본어와문학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The Governing Strategy and Its Technologies of the Dominating Regime in the Era of Park, Jung-Hee: Focusing the Rural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국가 · 민족 · 종족의 정치: 코트디부아르 정치위기의 사례

The Politics of State, Nation and Ethnicity: The Ivorian Case of Political Crisis

국제.지역연구 | 20 | 2 | 2011 | 정치외교학

정대세의 눈물 읽기: 블로그(Blog)를 통해 본 그 의미 해석

Understanding the Tears of Jung, Dae-Se: the Dynamics of Interpreting the Meaning through Blogs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5 | 3 | 2012 | 체육

顧頡剛과 孫晉泰의 歷史認識

顧頡剛和孫晉泰的歷史認識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실학자들의 고구려사·백제사 연구

The Study of Scholars of the Practical Leaning School Concerning the History of Koguryo and Paekche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주체의 확립 과정과 여성문학의 지향점 -임순득 론-

The Process of Subject Establishment and Orientation of Women’s Literature-The theory of Im, Soon-Duk-

현대문학의 연구 | | 4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채호의 소설의 전도적 상상력과 그 서사적 효과 ― 「백세노승의 미인담」과 「용과 용의 대격전」을 중심으로

The Reverse Imagination and Narrative Effect in Shin Chae-ho’s Novels ― Centering on 「A One-Hundred Year Old Man's Story About A Beauty」 and 「A Fierce Battle Between Two Dragon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채호의 소설의 전도적 상상력과 그 서사적 효과 ― 「백세노승의 미인담」과 「용과 용의 대격전」을 중심으로

The Reverse Imagination and Narrative Effect in Shin Chae-ho’s Novels ― Centering on 「A One-Hundred Year Old Man's Story About A Beauty」 and 「A Fierce Battle Between Two Dragon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자의 사명과 학문의 태도

Die Bestimmung des Gelehrten und sein wissenschaftliches Verhalten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학자의 사명과 학문의 태도

Die Bestimmung des Gelehrten und sein wissenschaftliches Verhalten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Gangwondo & the Korean Moern Literature-Focusing on Gangneung․Yeongdong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Gangwondo & the Korean Moern Literature-Focusing on Gangneung․Yeongdong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 종족, 디아스포라의 자아의식

National, Ethnic and Diaspora Self-Consciousness

한국 시베리아연구 | 16 | 1 | 2012 | 러시아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식민지의 돈 쓰기-민족과 개인, 그리고 여성

Spending Money of Colony-nation, individual and female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쟁, 그 기억의 의미와 방법 - 시카타 신의 "무궁화와 모젤"을 중심으로 -

A War, That Meaning and Methodology-Studies of Sikata sin's "Mukuge to Mozeru"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해외 이주체험 형상에 나타난 공동체성의 구성 양상-일본과 미국지역 소설을 중심으로-

Communities Formed by Migr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An Archeological Approach to the Birth of the Gungmin in the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 국민 탄생의 고고학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4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海德格的共同體-從宗教生命到大學精神

하이데거의 공동체 - 종교생명으로부터 대학정신에 이르기까지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植民地 朝鮮人 資本家의 表象과 民族談論 -1930年代 雜誌 <三千里>를 中心으로-

Symbol of Chosun’s Colonial Capitalist and Discourse of Nation -With 1930's magazine Samcheonli as the center-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植民地 朝鮮人 資本家의 表象과 民族談論 -1930年代 雜誌 <三千里>를 中心으로-

Symbol of Chosun’s Colonial Capitalist and Discourse of Nation -With 1930's magazine Samcheonli as the center-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접변유형에 따른 결혼이민여성의 여가활동 선호 및 참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Leisure Preferences and Participation of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in Korea:Using Berry's acculturation Types

관광학연구 | 35 | 6 | 2011 | 관광학

국어교육에서의 다문화주의 수용에 대한 숙고

Reconsidering Multiculturalism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문학교육학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북한의 항일무장투쟁 전통과 민족 만들기-민족주의와 권력, 담론, 주체

한국사회학 | 46 | 1 | 2012 | 사회학

전쟁, 그 기억의 의미와 방법 - 시카타 신의 "무궁화와 모젤"을 중심으로 -

A War, That Meaning and Methodology-Studies of Sikata sin's "Mukuge to Mozeru"

일본어문학 | 57 | 2012 | 일본어와문학

초대서양(Transatlantic) 문화로서의 19세기 프라이즈 파이팅과 민족과 국가 정체성 만들기

Nineteenth-Century Boxing as a Transatlantic Culture and the Construction of Ethnic and National Identities

서양사론 | 110 | 2011 | 역사학

민족과 민족주의-겔너와 스미스를 중심으로-

The theories of Nation and Nationalism; Ernest Gellner and Anthony Smith.

숭실사학 | 26 | 2011 | 기타역사일반

心山 金昌淑의 儒學的 ‘民族’槪念

SimSan Kim-changsuk's concept of nation in 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心山 金昌淑의 儒學的 ‘民族’槪念

SimSan Kim-changsuk's concept of nation in confucianism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헤겔의 역사정신과 엥겔스의 비판적 변용

Hegels Begriff des geschichtlichen Geistes und die Engelsche kritische Auseinandersetzung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海德格的共同體-從宗教生命到大學精神

하이데거의 공동체 - 종교생명으로부터 대학정신에 이르기까지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1 | 2012 | 원불교학

대중극의 정치학, 박영호의 전략-박영호의 초기 연극 활동을 중심으로-

The Political Strategy of Popular Theatre-focused on earlier theater of Park Young-Ho-

한국연극학 | 1 | 47 | 2012 | 연극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8 | 2010 | 기타국문학

독립선언서에 표상된 한(韓)과 조선 그리고 동양-부재하는 국가, 선언으로서의 민족, 개인의 희생

Representations of ‘Han(韓),’ ‘Joseon(朝鮮),’ and ‘the East(東洋)’ in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사이間SAI | | 8 | 2010 | 기타국문학

공동체를 탈주하는 방랑과 죽음으로 귀환하는 여행 - 「어린 벗에게」, 『유정』 -

Wandering to escape the community and travel returning to death -To My Little Friend and Yujeong-

한국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그를 둘러싼 환상

Multiculturalism and Fantasy of Korea Society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그를 둘러싼 환상

Multiculturalism and Fantasy of Korea Society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민족의 개념이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끼치는 영향 연구 - 독일, 프랑스, 영국을 중심으로 -

Etude sur l'Intégration Sociale des Immigrés Etrangers Influencée par la Conception de la Nation - comparant les trois pays: l'Allemagne, l'Angleterre et la France -

프랑스 문화 연구 | 22 | 2011 | 프랑스문화학

아시아의 현대적 전통관현악단들: 정체성의 정치학

Modern Traditional Orchestras in Asia: The Politics of Identity

음악과 문화 | 24 | 2011 | 음악학

일제시대 근대 '국민' 개념 형성과정 연구

Formation of the Concept of a Modern “N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정부학연구 | 17 | 1 | 2011 | 행정학

인도네시아 바띡의 민족문화화 요인 고찰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Indonesian Batik's Growing to be National Culture

동남아시아연구 | 22 | 1 | 2012 | 지역학

Nation und Nationalbewusstsein

통일전략 | 12 | 2 | 2012 | 북한정치/통일

산수 이종률의 민족론을 다시 생각한다

Reconsideration to the theory of a nation in Lee Jong Yool's thought.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민족의 형상화 그리고 지식의 재구조화·합리화·권력화 문제 - 동북아시아의 맥락에서

On Meaning of Nation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민족의 형상화 그리고 지식의 재구조화·합리화·권력화 문제 - 동북아시아의 맥락에서

On Meaning of Nation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정치사상연구 | 16 | 1 | 2010 | 정치외교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재외동포 고국관광의 개념적 정립과 관광동기

Theoretical Conceptualization of Overseas Residents' Homeland Tourism and their Travel Motivation

관광학연구 | 34 | 6 | 2010 | 관광학

민족적 연대감에 의한 여행상품 개발 모색 -일본 오키나와의 삼별초와 홍길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avel Service Products based on the feeling of ethnic solidarity for Koreans -Focused on the Sambyeolcho and Hong-gildong related sights of Okinawa, Japa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

남북통일의 정당성과 통일국가의 비전

The Legitimacy and Condition of Reunification of Korea

신학과철학 | 16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남북통일의 정당성과 통일국가의 비전

The Legitimacy and Condition of Reunification of Korea

신학과철학 | | 16 | 2010 | 기타가톨릭신학

한국민족주의의 역사 분석을 위한 이론서설

Introduction to Theory for a Historical Analysis of Korean Nationalism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민족주의의 역사 분석을 위한 이론서설

Introduction to Theory for a Historical Analysis of Korean Nationalism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민족주의의 개념

On the concept of nationalism

프랑스사 연구 | 22 | 2010 | 역사학

민족주의의 개념

On the concept of nationalism

프랑스사 연구 | | 22 | 2010 | 역사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앙아시아 한인의 공동작품집 『조선시집』에 나타난 민족적 정체성 고찰

A Study on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Poetical works of Chosu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토착화 신학-제 3세대 토착화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의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A Indigenous Theology in the point of the discussion about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신학사상 | 151 | 2010 | 기독교신학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토착화 신학-제 3세대 토착화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A. 네그리의 『제국』과 『다중』의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A Indigenous Theology in the point of the discussion about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신학사상 | | 151 | 2010 | 기독교신학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Nation and State in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과 한국문학

Nation and State in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다문화와 한국 현대시

Multi-culture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배달말 | 49 | 2011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문학’ 개념의 역사적 이해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민족성과 이념, 그리고 문학 -김학철과 老舍의 경우-

Nationality, Ideas and Literature -About Kim Hakcheol and Laoshe-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족성과 이념, 그리고 문학 -김학철과 老舍의 경우-

Nationality, Ideas and Literature -About Kim Hakcheol and Laoshe-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Which Imagined Community? Ethnie, Nation and Beyond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미국 인종 및 민족 정체성 발달 이론으로부터 조망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애 발달 이해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hildren of Korea with the Life Long Perspective as Investigating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merican Multicultural Identity Theori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3 | 4 | 2010 | 교육학

미국 인종 및 민족 정체성 발달 이론으로부터 조망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애 발달 이해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hildren of Korea with the Life Long Perspective as Investigating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merican Multicultural Identity Theories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 13 | 4 | 2010 | 교육학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The Social Historical Formation of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and the Futu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

단일민족사관의 사회사적 형성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탐색

The Social Historical Formation of the Racially Homogeneous Nation View of History and the Futu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교육사회학연구 | 20 | 4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