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어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72

STNet ID : 1003805

한자 : 民族語
영어 : national languag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민족적 특성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겨레말큰사전 () [ --辭典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족 문학 () [ 民族文學 ]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일랜드 문학의 전유와 민족문학 상상의 젠더

The Appropriation of Irish Literature and Imagining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Focusing o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민족문학론과 언어론

A Study on Limhwa'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and Language in Late Colonial Period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시대 언어상황과 브라질 포르투갈어 분극화의 역사적 배경

A Situação Multilíngue no Brasil Colonial e Raízes do Polarização do Português Brasileiro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

식민시대 언어상황과 브라질 포르투갈어 분극화의 역사적 배경

A Situação Multilíngue no Brasil Colonial e Raízes do Polarização do Português Brasileiro

중남미연구 | 29 | 1 | 2010 | 지역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