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내셔널리즘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3209

한자 :
영어 : Transnational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족 문학 () [ 民族文學 ]

새로운 주권자들과 참정권의 확장: 이주시민 참정권의 이해와 제도설계

Migrants’ Political Participation: Principles, Patterns and Institutional Design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새로운 주권자들과 참정권의 확장: 이주시민 참정권의 이해와 제도설계

Migrants’ Political Participation: Principles, Patterns and Institutional Design

한국정치연구 | 19 | 2 | 2010 | 한국정치사회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포스트 사회주의 동유럽의 새로운 집시 대중문화: 그 가능성과 한계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and New Gypsy Counterculture

역사와 문화 | | 19 | 2010 | 문화사(역사학)

Reconceptualizing  the  Myth  of  Origin  and  Homecoming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Jane  Jeong  Trenka’s  Fugitive  Visions

한국 입양서사에 나타난 귀향과 기원 신화에 대한 재정의: 제인 정 트렌카의『덧없는 환영』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Reconceptualizing  the  Myth  of  Origin  and  Homecoming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Jane  Jeong  Trenka’s  Fugitive  Visions

한국 입양서사에 나타난 귀향과 기원 신화에 대한 재정의: 제인 정 트렌카의『덧없는 환영』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왜 호모 미그란스(Homo Migrans)인가? : 이주사의 최근 연구동향과 그 의미

Why Homo Migrans Matters? : Recent Scholarship on Migration History and Its Implications

역사학보 | 212 | 2011 | 역사학

동아시아 근대사상의 내셔널리즘과 트랜스내셔널리즘 —한중일 근대사상의 비교를 중심으로—

Nationalism and Transnationalism Found in East Asia Modern Thoughts

日本思想 | 20 | 2011 | 철학

Toward  World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in  a  Globalizing  World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논의와 제안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Toward  World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in  a  Globalizing  World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위한 논의와 제안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ism, (im)possiblity and Jainichi Korean as a state of Emergency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