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 문학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A100600 인문학 > 문학 > 문학장르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99

STNet ID : 1002715

한자 : 民衆文學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1970년대 () [ 一九七○年代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중시 [ 民衆詩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민중 가요 () [ 民衆歌謠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노동 문학 () [ 勞動文學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민중 신학 [ 民衆神學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노동해방문학 (문헌) [ 勞動解放文學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족 문학 () [ 民族文學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민중 () [ 民衆 ]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농무 () [ 農舞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내일을 여는 집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소설에서 미술수용의 의미

Meaning of art accepting in Hwang Seok-yeong's novel —focused on 『The old garden』—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소설에서 미술수용의 의미

Meaning of art accepting in Hwang Seok-yeong's novel —focused on 『The old garden』—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발턴의 생활글과 민족문학론의 재구성

The Writings of Subaltern and Reconstruction of National Literature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문구 소설의 민중 표상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injung in the novels of Lee Mun-gu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풍수지리와 한국의 대중소설: 유현종의 『사설 정감록』을 중심으로

Feng Shui and Popular Fiction

민족문학사연구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서발턴은 쓸 수 있는가 : 1970~80년대 민중의 자기재현과 ‘민중문학’의 재평가를 위한 일고

Can the Subaltern Write?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