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4.19세대의 주체성 정립과 민족문학론으로의 도정- 196,70년대 염무웅 비평론
A Study on Yeom, Mu-ung's Literary Criticism in 1960-7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顧頡剛과 孫晉泰의 歷史認識
顧頡剛和孫晉泰的歷史認識
중국사연구 |
75 |
2011 |
동양사
단재 신채호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of Dan Jae Shin Che-Ho
민족사상 |
5 |
2 |
2011 |
한국정치사상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정래 <태백산맥>의 서사구조 고찰
A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Cho Jung Rae's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2 |
2 |
2011 |
기타인문학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The Religious Spirituality of Goh Jung Hee’s Poetry and the “Mother-God”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9 |
2 |
2011 |
기타인문학
二僧競合談의 변이양상과 그 의미
A Study on the Traditional Significance of Buddhist Figure Stories :with priority given to stories about the competition of Buddhist priests
동악어문학 |
56 |
2011 |
한국어와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正祖年間 茶山의 苦惱와 詩的 形象化
The Agonies of Dasan[茶山] & His Poetic Imagery during the JungJo[正祖] Era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이데올로기’와 ‘폭력’의 관계성 연구 - 1970년대 황석영, 이문열의 소설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deology and violence - focused on the novels of Hwang Sok‒yong and Lee moon-yeol in 1970s -
인문학연구 |
40 |
2 |
2012 |
기타인문학
Q복음서의 세례자 요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John the Baptist in Q Gospel
신학연구 |
48 |
1 |
2011 |
기독교신학
인텔리겐치아와 그리스도 - 블로크의 ‘강림의 삼부작’과 그리스도의 형상(2)
Intelligentsia & Christ: Blok's "Trilogy of Incarnation" & the Vision of Christ(2)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駱駝祥子〉에 대한 몇 가지 再論
Study on Popular Psychology in Luotuoxiangzi(駱駝祥子)
중국소설논총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駱駝祥子〉에 대한 몇 가지 再論
Study on Popular Psychology in Luotuoxiangzi(駱駝祥子)
중국소설논총 |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비극적 태몽담과 죄의식의 문제 ―구전설화 <태몽>을 중심으로―
The essay on the tragic dream of conception tales and the consumed with guilt centering around Taemong in the tales handed down orally
동악어문학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혁명가와 청중반응-타보르파의 천년왕국운동을 중심으로-
A Revolutionary and Audience-Response: Focusing on the Taborite Millenarian Movement
숭실사학 |
26 |
2011 |
기타역사일반
서동설화의 주체 연구
A study on Main agent of "Seodong Tale"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주인공들의 천국과 지옥 표상 연구
A Study on the Heroes' Representation of Heaven and Hell in The Brothers of Karamazov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까라마조프의 형제들』주인공들의 천국과 지옥 표상 연구
A Study on the Heroes' Representation of Heaven and Hell in The Brothers of Karamazov
문학과 종교 |
15 |
2 |
2010 |
기타인문학
《태백산맥》의 탈식민성 연구
Post-colonial study of Taebaek Mountains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Gangwondo & the Korean Moern Literature-Focusing on Gangneung․Yeongdong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Gangwondo & the Korean Moern Literature-Focusing on Gangneung․Yeongdong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변혁기 한국 민간신앙에 나타난 민중의 정치의식
People's political consciousness in folklore in the periods of change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함석헌 사상의 문학사적 의미
The Meaning of Ham Seok-heon’s Though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우리어문연구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민중의 “도덕경제”와 식량폭동 -18세기 말 프랑스의 경우-
People's Moral Economy and Food Riot -The Case of France in the late 18th century-
역사학연구 |
38 |
2010 |
역사학
민중의 “도덕경제”와 식량폭동 -18세기 말 프랑스의 경우-
People's Moral Economy and Food Riot -The Case of France in the late 18th century-
역사학연구 |
|
38 |
2010 |
역사학
“土俗學”에서 “民俗學”으로-日本人類學史에 나타난 學名의 변천과 學問 正體性-
From “Ethnography” to “Folklore”: Switching Disciplinary Naming and Academic Identity in History of Japanese Anthropology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80년대, 산업 현장과 아리랑-영화 <구로아리랑>의 사회적, 수사적 의미
An Epoch of 1980’s and the Industrial Field’s Arirang: The Social and Metaphorical Meaning of Guro Arirang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20 |
2 |
2012 |
기타인문학
홍구범 단편 연구 ―해방전후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The cognition of the front and the rear history of liberation ―A study of Hong, gou-beom's short story
비평문학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후(戰後)·전전(戰前) 일본시의 특징과 문제점 연구
The Study of Problems of the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 Japanese Poetry
일어일문학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전후(戰後)·전전(戰前) 일본시의 특징과 문제점 연구
The Study of Problems of the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War Japanese Poetry
일어일문학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역사콘텐츠로서 ‘명량대첩축제’의 세계화 방안
Globalization Measure of ‘Myeongryang Great Victory Festival' as historical contents
군사연구 |
133 |
2012 |
역사학
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계급제도의 붕괴와 부의 재분배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Modernity in Jeung-San Thoughts: With Respect to Collapse of Hierarchical System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종교교육학연구 |
34 |
2010 |
종교학
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계급제도의 붕괴와 부의 재분배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of Modernity in Jeung-San Thoughts: With Respect to Collapse of Hierarchical System and Redistribution of Wealth
종교교육학연구 |
34 |
|
2010 |
종교학
증산 강일순의 인권사상
Jeung-san Kang, Il-Soon's Human-rights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2 |
2010 |
종교학
증산 강일순의 인권사상
Jeung-san Kang, Il-Soon's Human-rights Thoughts
종교교육학연구 |
32 |
|
2010 |
종교학
엔리케 두셀의 해방정치철학에 대한 연구: 생명, 희생자 그리고 민중 개념을 중심으로
중남미연구 |
30 |
1 |
2011 |
지역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민중 개념의 다양성과 그 변천 과정 -신경림의 민족문학론을 대상으로
A Re-interpretation about Min-jung(民衆) on Nationalistic Literature of Shin, Kyeong-rim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라틴아메리카 포퓰리즘에 대한 정치철학적 재해석
Latin American Populism Politico-Philosophically Revisited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3 |
2 |
2012 |
스페인어와문학
아쿠타가와(芥川)텍스트에 나타난 대중표상-다이쇼기 시대상황과 관련하여-
芥川龍之介のテキストに於ける大衆表象
일본문화연구 |
36 |
2010 |
일본어와문학
아쿠타가와(芥川)텍스트에 나타난 대중표상-다이쇼기 시대상황과 관련하여-
芥川龍之介のテキストに於ける大衆表象
일본문화연구 |
|
36 |
2010 |
일본어와문학
황석영 초기 소설에 나타난 ‘문제적 개인’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황석영 초기 소설에 나타난 ‘문제적 개인’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의로운 평화와 “민에 의한 통일”- 심원 안병무 선생의 통일이론
Just Peace and "Reunification by the Minjung"- On the Theory of Reunification in Byung Mu Ahn
신학사상 |
155 |
2011 |
기독교신학
申采浩 文學, 억압된 近代의 原史 -亡命 以後의 文學을 중심으로-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 Chae Ho’s Liter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申采浩 文學, 억압된 近代의 原史 -亡命 以後의 文學을 중심으로-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n Chae Ho’s Liter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1880년대 후반~1890년대 전반기 조선의 프랑스 인식
Understanding of Joseon for France during period of between the latter 1880’ and the early 1890’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민중 개념의 다양성과 그 변천 과정 -신경림의 민족문학론을 대상으로
A Re-interpretation about Min-jung(民衆) on Nationalistic Literature of Shin, Kyeong-rim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Ham Seok-hon's perspective on the people and the discourse of democracy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함석헌의 민중 인식과 민주주의론
Ham Seok-hon's perspective on the people and the discourse of democracy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경제와 사회 |
86 |
2010 |
사회학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경제와 사회 |
|
86 |
2010 |
사회학
1920~3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대중' 인식
역사와 현실 |
77 |
2010 |
역사학
1920~30년대 식민지 지식인의 '대중' 인식
역사와 현실 |
|
77 |
2010 |
역사학
僞經의 민중교육적 의미─남북조시대 찬술경전을 중심으로
Minjung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Buddhist Apocryphal Sutras ―focusing on the apocryphal sutras from the period of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데기-되기:『선천댁』에 나타난 안병무의 ‘민중 구원론’다시 읽기
Re-reading of Ahn Byung-Mu 's 'Minjung Soteriology' through 『Suncheon-daeg』
신학사상 |
153 |
2011 |
기독교신학
<전우치전>의 교육적 가치와 그 활용 방안
and Methods of Teaching Social Values Advocated in a Classical Novel
동양고전연구 |
43 |
2011 |
기타인문학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The Creation of ‘Popul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People’ ―Examining the ‘People History’ of North-Joseon(North Korea) as a Methodical approach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The Creation of ‘Popul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People’ ―Examining the ‘People History’ of North-Joseon(North Korea) as a Methodical approach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이문구 소설의 민중 표상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injung in the novels of Lee Mun-gu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몽 소설의 의적 모티프 비교연구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Motives of Righteous Outlaws in Korean and Mongolian Novels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새로운 민중사’의 지향과 현주소
Objectives for a ‘New History of Minjung,’ and Current issues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새로운 민중사’의 모색과 구술사 방법론의 활용
'New Minjung History' and the Oral History as its Methodology (Lee, Yong-ki)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새로운 민중사’의 모색과 구술사 방법론의 활용
'New Minjung History' and the Oral History as its Methodology (Lee, Yong-ki)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민중의 셈법과 ‘자율적’ 생활세계 ― 생활문서의 화폐기록을 통하여
The people’s way of calcul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ir own world of ‘autonomous living’ ―Examination of the ‘Currency records’ in the people’s documents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잭 케이드 반란과 민중,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급진주의’
The Jack Cade Rebellion in 2 Henry VI: People, Popular Rebellion, and Shakespeare’s “Radicalism”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1 |
2010 |
영어와문학
잭 케이드 반란과 민중,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급진주의’
The Jack Cade Rebellion in 2 Henry VI: People, Popular Rebellion, and Shakespeare’s “Radicalism”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 |
19 |
1 |
2010 |
영어와문학
디킨스와 가십의 정치학: 『에드윈 드루드의 비밀』을 중심으로
19세기 영어권 문학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디킨스와 가십의 정치학: 『에드윈 드루드의 비밀』을 중심으로
19세기 영어권 문학 |
14 |
2 |
2010 |
영어와문학
최명희 초기 단편소설 연구 ―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oi Myung-hee's Early Short Stories: Focused on Patterns of Conflicts among Characters and Development of a Theme
아시아문화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최명희 초기 단편소설 연구 ― 작중인물의 갈등 양상과 주제의식의 전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oi Myung-hee's Early Short Stories: Focused on Patterns of Conflicts among Characters and Development of a Theme
아시아문화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시대에 대응하는 전략적 방식으로써 - 고정희 초혼제(1983) 장시를 중심으로 - 되받아 쓰기(writing back) 고찰 - 고정희 초혼제(1983) 장시를 중심으로 -
writing as a strategy poetry(writing back) study - Gojeonghui 초혼제(1983) Focused on -
한국문예비평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대에 대응하는 전략적 방식으로써 - 고정희 초혼제(1983) 장시를 중심으로 - 되받아 쓰기(writing back) 고찰 - 고정희 초혼제(1983) 장시를 중심으로 -
writing as a strategy poetry(writing back) study - Gojeonghui 초혼제(1983) Focused on -
한국문예비평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