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연구분야 :

클래스 : 국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879

한자 : 國民
영어 : nation
기타 : 国民
영어 : people

a01-04-02 국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가 () [ 國家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4-02 국민 국민

공민 [ 公民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입법자의 의무 [ 立法者--義務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근대적 정치권력 () [ 近代的政治權力 ]

RT (관련어)

유사동의어

a01-04-02 국민 국민

인민 () [ 人民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민중 () [ 民衆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국민 문화 지수 [ 國民文化指數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인적 공의무 [ 個人的公義務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건강권 [ 健康權 ]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Forms of Korean War Memory in the view of point of Transwar-history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40년대 이광수의 역사 내러티브와 민족주의 담론의 양상 -역사소설 『세조대왕』을 중심으로-

Aspect of Lee Guang-su's historical narration and nationalism discussion in 1940's -Focus on historical novel 'king Sejo' <세조대왕>-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21세기 다문화 소설에 나타난 국민 개념의 재구성과 탈식민성

A research on the Conceptual Refomation of Nation and its Decoloniality - focused on in Korean Multicultural fictions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1950's~1960's

동방학지 | 151 | 2010 | 기타인문학

1950~60년대 재건 담론의 의미와 지향

The Meaning and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on Discourse in the 1950's~1960's

동방학지 | | 151 | 2010 | 기타인문학

독일의 국민국가 형성: 1848년 시민혁명기 공공성과 공동성의 갈등과 대립

The Nation-State Building in Germany : Dissension and Confront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Common during the German Civil Revolution in 1848

사회과학연구 | 37 | 2 | 2011 | 사회과학일반

해방기 사회의 타자와 동아시아의 얼굴 - 해방기 소설에 표상된 상해에서 온 이주자 -

The Other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Face of East Asia -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represented in the novel of Liberation Period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민족과 민족주의-겔너와 스미스를 중심으로-

The theories of Nation and Nationalism; Ernest Gellner and Anthony Smith.

숭실사학 | 26 | 2011 | 기타역사일반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전사형 국민 생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상(像)의 전용

The Production of Warrior-Kukmin(國民) and the Appropriation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by the Republic of Korea in Its Early Days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설립 초기 대한민국의 전사형 국민 생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상(像)의 전용

The Production of Warrior-Kukmin(國民) and the Appropriation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by the Republic of Korea in Its Early Days

한국사연구 | | 151 | 2010 | 역사학

프랑스혁명 전야의 팸플릿 전쟁

The Pamphlet war on the eve of French Revolution

프랑스사 연구 | 22 | 2010 | 역사학

프랑스혁명 전야의 팸플릿 전쟁

The Pamphlet war on the eve of French Revolution

프랑스사 연구 | | 22 | 2010 | 역사학

晦峰 河謙鎭의 「國性論」 분석

An Analysis on Hoibong Ha Gyeom Ji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or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晦峰 河謙鎭의 「國性論」 분석

An Analysis on Hoibong Ha Gyeom Ji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or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개념어의 의미 - ‘국민(國民)’, ‘인민(人民)’, ‘시민(市民)’을 대상으로 -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cepts in Modern Textbook -Focused on ‘Nation’, ‘People’, ‘Citizen’-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근대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개념어의 의미 - ‘국민(國民)’, ‘인민(人民)’, ‘시민(市民)’을 대상으로 -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cepts in Modern Textbook -Focused on ‘Nation’, ‘People’, ‘Citizen’-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단재 신채호의 역사사상에 관한 연구

Danjae Sin Chae-ho's Idea of History

민족사상 | 5 | 2 | 2011 | 한국정치사상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Hegels Ansicht von Volk, Staat und Weltgeschicht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프랑스: 종교적 갈등에서 정치적 저항으로

18th Century France: from the Religious Conflict to the Political Opposition

역사학보 | 213 | 2012 | 역사학

박정희시대 지배체제의 통치 전략과 기술: 1970년대 농촌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The Governing Strategy and Its Technologies of the Dominating Regime in the Era of Park, Jung-Hee: Focusing the Rural Saemaeul Movement in the 197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0 | 2011 | 사회학

단재 신채호와 역사의 발견

Danjae Shin, Chae-ho and the Discovery of Histor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와 정치적 함의

Spy Sto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in South Korean Liberation Days (August 1945~August 1948)

역사학연구 | 41 | 2011 | 역사학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 시민군과 애국주의

Militia and Patriotism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Modern Nation-State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근대 국민국가 형성기 시민군과 애국주의

Militia and Patriotism in the Period of Formation of Modern Nation-State

한국정치연구 | 19 | 1 | 2010 | 한국정치사회

1970년대 법률 담론에 나타난 하층 여성(성)

The Female Subalterns in the 1970’s Juridical Discourse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1950년대 국민국가 만들기와 상이군인의 ‘몸’

Discussion of Disabled Veterans in making Nation-State in 1950’s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마이너리티는 말할 수 있는가 - 난민의 자기역사 쓰기와 내셔널 히스토리의 파열 -

The Self-narrative writing of Refugee and the Rupture of National History

인문연구 | 64 | 2012 | 기타인문학

기생을 바라보는 근대의 시선 -근대 초기 신문 매체에 나타난 기생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A view of modernity toward Kisaeng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Kisaeng shown in the newspapers of the early moder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탈국경화 시대의 역사 교육 - 세계사교육을 중심으로 -

History Education in the Transnational Era - Focusing on World History Education -

사회과교육 | 49 | 3 | 2010 | 교육학

기타무라도코쿠와 도쿠토미소호의 문학 ―「인스피레이션」에서 「내부생명론」으로―

Kitamura Toukoku and Tokutomi Soho's Literature ; From "Inspiration" to "Inner-Life"

일본근대학연구 | 31 | 2011 | 일본문화학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Kungmin’ and ‘Patriotism’ of the Chosŏn Students Studying in the Japan(1896~189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치젼> 원본 연구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그리고<국치젼>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치젼> 原本研究 -『日本政海 新波瀾』, 『政海波瀾』, そして<국치젼>-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제연합에 의한 국가주권의 물신화와 여행서사의 국가화 - 조병옥의 『특사유엔기행』의 역사지정학 -

Fetishism of National Sovereignty by the UN and Nationalizing of Travel Narrative - Historical Geopolitics of Cho Byong Ok’ Travelogue of the UN special envoy -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국제연합에 의한 국가주권의 물신화와 여행서사의 국가화 - 조병옥의 『특사유엔기행』의 역사지정학 -

Fetishism of National Sovereignty by the UN and Nationalizing of Travel Narrative - Historical Geopolitics of Cho Byong Ok’ Travelogue of the UN special envoy -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Integration and Public Law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법과 통합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Integration and Public Law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법과 통합

세계헌법연구 | 16 | 3 | 2010 | 법학

조선초기 賤人天民論의 전개

The status of slave on the early Choson period

조선시대사학보 | 57 | 2011 | 역사학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Tradition and Discourse: including the propose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통과 담론 -전망적 요청을 겸한 단상-

Tradition and Discourse: including the propose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애국가 동영상에 나타난 국가상징 분석-1980년대 국립영화제작소와 2010년 방송국의 애국가 비교-

Visual Image of Korean National Anthem in Korean Film and TV programs

사회과학연구 | 24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다문화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 헌법적 접근을 위한 시론 -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 Liberties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다문화사회와 사회적 기본권 - 헌법적 접근을 위한 시론 -

Multicultural Society and Civil Liberties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미국연방대법원, 사법심사 그리고 국민

The U.S. Supreme Court, Judicial Review and the People

강원법학 | 36 | 2012 | 기타법학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중국 근대 지식인들의 ‘민족국가’ 인식

對於'民族國家'中國近代知識分子的認識

다문화콘텐츠연구 | 3 |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어떤 상상의 공동체? 민족, 국민 그리고 그 너머

Which Imagined Community? Ethnie, Nation and Beyond

역사비평 | 96 | 2011 | 역사학

송영의 <달밤에 걷든 산길> 연구

Study on the Play, of Song Yeo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An Archeological Approach to the Birth of the Gungmin in the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 국민 탄생의 고고학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4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일제시대 근대 '국민' 개념 형성과정 연구

Formation of the Concept of a Modern “N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정부학연구 | 17 | 1 | 2011 | 행정학

국민기본권 보장을 위한 경찰수권조항 연구

A Study on the Police Delegation of Legal Power Article for Nation Fundamental Rights Guarantee

한국치안행정논집 | 9 | 1 | 2012 | 경찰행정

‘국민문학’의 문제

The Problem of Kokumin Bungaku

현대문학의 연구 | 47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