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

연구분야 : A020000 인문학 > 역사학

클래스 : 국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736

한자 : 人民
영어 : the public
영어 : the people

a01-04-02 국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유사동의어

a01-04-02 국민 국민

국민 () [ 國民 ]

식민지 이후의 탈식민주의 ― 설정식 시를 중심으로 ―

After the colony, post-colonialism ― On Seol Jung-Sik's poetry ―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대정치철학에서 정치공동체관념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Idea of Political Community in Ancient Political Philosophy

사회과학연구 | 23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대한제국기 근대국가형성의 세 가지 구상

Three conceptions of modern state formation in Taehan Empire

21세기정치학회보 | 20 | 1 | 2010 | 정치외교학

근대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개념어의 의미 - ‘국민(國民)’, ‘인민(人民)’, ‘시민(市民)’을 대상으로 -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cepts in Modern Textbook -Focused on ‘Nation’, ‘People’, ‘Citizen’-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근대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개념어의 의미 - ‘국민(國民)’, ‘인민(人民)’, ‘시민(市民)’을 대상으로 -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cepts in Modern Textbook -Focused on ‘Nation’, ‘People’, ‘Citizen’-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배반’으로서의 국가 혹은 ‘난민’으로서의 인민: 해방기 귀환의 지정학과 귀환자의 정치성

The State's Betrayal or People as Refugees: The Geopolitics of Repatriation and the Politicity of the Repatriates in the Period of Liberation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조선유학생들의 ‘국민론’과 ‘애국론’ -『親睦會會報』(1896~189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The Discourse on ‘Kungmin’ and ‘Patriotism’ of the Chosŏn Students Studying in the Japan(1896~189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6 | 2011 | 역사학

한말‘민권’인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개인’과 ‘사회’인식에 대한 원형적 고찰: 한말 사회과학적 언설에 나타난‘인민’관과‘민권’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rim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and ‘People’s Right’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aehan Empir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해방 전후 林和의 政治優位論과 문학의 독자성

Im Hwa(林和)’s argument of placing Politics above all else(政治優位論), and of securing Literature’s nature of individuality, conceived around the time of Liberation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만들어진 전통과 ‘항일혁명 투쟁시기 문학’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들어진 전통과 ‘항일혁명 투쟁시기 문학’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민족주의의 개념

On the concept of nationalism

프랑스사 연구 | 22 | 2010 | 역사학

민족주의의 개념

On the concept of nationalism

프랑스사 연구 | | 22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식민지기 ‘집합적 주체’에 관한 개념사적 접근 ― 『동아일보』 기사제목 분석을 중심으로

The ‘Collective Subjects’ described in Dong’a Ilbo news repor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suggestion for ‘redefining’ the ‘People(民衆)’ concept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An Archeological Approach to the Birth of the Gungmin in the Republic of Korea

대한민국 국민 탄생의 고고학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14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해방기 좌익측 민족문학론의 인민성담론과 초코드화

The Overcoding of the Discourses of the People of National literary theory of Left-wing writers in the Period of Emancipation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21세기 초반 한국정치에서 파퓰리즘의 의미: 정치철학적 및 정치사상사적 탐색

The Meaning of Populism in the Early 21th Century Korean Politics: An Inquiry in Political Philosophy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수복지구'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정-'인민'에서 '주민'으로 '주민'에서 '국민'으로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Residents of ‘Restored Areas: A Shift from the ‘People’ to the ‘Population’, from the ‘Population’ to the ‘Natio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개인 편지에 나타난 북한 인민의 전쟁 서사

War Epic of North Korea People expressed Personal Letters

경제와 사회 | 94 | 2012 | 사회학

조선소년단 활동을 통해 본 북한의 ‘인민화’ 과정 ― 1945~50년, 평북 선천군 지역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North Korean population turning into ‘People,’ examined from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Boy Scouts ― Examination of the Pyeong’an Buk-do province’s Seoncheon-gun area in 1945~50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조선소년단 활동을 통해 본 북한의 ‘인민화’ 과정 ― 1945~50년, 평북 선천군 지역을 중심으로

The process of North Korean population turning into ‘People,’ examined from the activities of the Joseon Boy Scouts ― Examination of the Pyeong’an Buk-do province’s Seoncheon-gun area in 1945~50

역사문제연구 | 14 | 2 | 2010 | 역사학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The Creation of ‘Popul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People’ ―Examining the ‘People History’ of North-Joseon(North Korea) as a Methodical approach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인민’의 창조와 사라진 ‘민중’ ― 방법으로서 북조선 민중사 모색

The Creation of ‘Population’ and the disappearance of the ‘People’ ―Examining the ‘People History’ of North-Joseon(North Korea) as a Methodical approach

역사문제연구 | 14 | 1 | 2010 | 역사학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자기결정권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서울법학 | 18 | 1 | 2010 | 법학

‘결함 있는’ 인민: 중국 동북 노동자 밀집지역에서 기층간부들의 ‘사구자치’(社区自治)가 갖는 딜레마

“Flawed” People: The Dilemma of Community Cadres in a Workers’ Village, Northeast China

현대중국연구 | 13 | 1 | 2011 | 중국

조선인민군의 당-국가 인식과 인민형성 - 동원, 징병, 규율을 중심으로

The nation-building as the ‘People’ and the cognition of the worker’s party-state of Korean People’s Army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mobilization, conscription, discipline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9 | 2011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