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대전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B130108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 법사학

클래스 : 문헌명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8

한자 : 經國大典

y02-01 문헌명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법전 (法典)

제작자

강희맹 (姜希孟)

노사신 (盧思愼)

최항 (崔恒)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지정호수_t

보물 제1521호

지정일자_t

2007-07-13

주소_t

경기도 성남시

제작(설립)년도_t

1485년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전통편 [ 大典通編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계목 [ 啓目 ]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전회통 [ 大典會通 ]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양전 [ 量田 ]

hasIssue (이슈/주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비종모법 () [ 奴婢從母法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교정청 [ 校正廳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조선경국전 () [ 朝鮮經國典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1 문헌명 문헌명

대명률 () [ 大明律 ]

RT (관련어)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대전속록 [ 大典續錄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조칙 [ 詔勅 ]

무로마치 왜구와 조선의 대(對)왜인 정책 -평화와 공존을 위한 조선의 선택-

The Muromatsi Wakou and the Policy Changes of Joseon Kingdoms -The Decision of Joseon Kingdoms for the Peace of East Asia-

일본연구 | 18 | 2012 | 일본어와문학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Lower Gyeongajeon(京衙前) under Dongban(東班) around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Centering on Seori(書吏)-

韓國史學報 | 40 | 2010 | 역사학

17세기 전후 동반 소속 하급 京衙前制度의 변화 -書吏를 중심으로-

The Institutional Changes of the Lower Gyeongajeon(京衙前) under Dongban(東班) around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Centering on Seori(書吏)-

韓國史學報 | | 40 | 2010 | 역사학

여말선초 宮衛 인식과 守門將 제도의 성립

Palace Security Recognition and Establishment of Chief Gate Keeper System at the end of Ko-ryu and the beginning of Chosun.

군사연구 | 131 | 2011 | 역사학

‘유교적 헌정주의’ 재검토 조선 초기 왕권의 정상화와 ‘헌장주의(憲章主義)’

Review on 'Confucian Constitutionalism' The Normalization of Royal Authority and ‘the Principle of Heon-Zhang(憲章主義)'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아세아연구 | 55 | 3 | 2012 | 지역학

여말선초 紅牌·白牌 양식의 변화와 의의

The change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orm of crimson certificate and white certificate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 early Joseon period

古文書硏究 | 40 | 2012 | 역사학

사옹원 분원의 백토 수급지 연구

The Study to White Clay Supplying Site of Sa'ongwon Branch

한국도자학연구 | 6 | 2 | 2010 | 기타미술

사옹원 분원의 백토 수급지 연구

The Study to White Clay Supplying Site of Sa'ongwon Branch

한국도자학연구 | 6 | 2 | 2010 | 기타미술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27 | 2010 | 철학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罷繼 행정을 통해 본 18세기 입후법 운용-장서각 소장『繼後謄錄』을 중심으로

The Successor-Designation Law of the 18th Century, Examined through the “Successor-Releasement(罷繼) Order” -Analysis of Gyehu-deungnok (繼後謄錄), in the Jangseogak Archives

藏書閣 | 25 | 2011 | 역사학

개화기 입헌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Constitutional Study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Korea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개화기 입헌주의 수용에 관한 연구 동향과 과제

Trends and Tasks of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Constitutional Study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Korea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공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quity of Land Tax in Chosun Dynasty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공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quity of Land Tax in Chosun Dynasty

세무학연구 | 27 | 1 | 2010 | 회계학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27 | 2010 | 철학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양명학 | | 27 | 2010 | 철학

『釋門家禮抄』의 五服圖 연구

A Research for the Mourning Dress System of Sugmungalyecho

영남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釋門家禮抄』의 五服圖 연구

A Research for the Mourning Dress System of Sugmungalyecho

영남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의 형사제재

The Punishment System of Joseon Dynasty

성균관법학 | 22 | 2 | 2010 | 법학

조선시대의 형사제재

The Punishment System of Joseon Dynasty

성균관법학 | 22 | 2 | 2010 | 법학

조선시대 사림세력 형성의 역사적 배경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formation of Sarim(士林) in Joseon Dynasty

국학연구 | 19 | 2011 | 기타인문학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통해서 본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

일감법학 | 17 | 2010 | 기타법학

경국대전(經國大典)을 통해서 본 조선왕조의 통치 이념

일감법학 | | 17 | 2010 | 기타법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