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녀 시조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806

STNet ID : 1003215

한자 : 妓女時調
영어 : GinyeoSijo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Creator (창작자)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기생 () [ 妓生 ]

N1:종류

hasKind (종류)

 

 

연군 시조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애정 시조 [ 愛情時調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정한 [ 情限 ]

시조에서의 밤과 자기표현

A study on the Night and Self-expression in Sijo

온지논총 | 29 | 2011 | 기타인문학

떠난 사랑이 돌아오면 행복할까—俗謠의 ‘그리움’과 ‘미련’을 통해 본 고전시가의 행복론—

Shall We Be Happy if the Departed lover Returned?—Variation of Love motif in the Poetic Persona—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시조에 나타난 ‘임’을 부르는 목소리

The voice call ‘Lovers' in Sijo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에 나타난 ‘임’을 부르는 목소리

The voice call ‘Lovers' in Sijo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에 나타난 ‘임’을 부르는 목소리

The voice call ‘Lovers' in Sijo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에 나타난 ‘임’을 부르는 목소리

The voice call ‘Lovers' in Sijo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생태주의 관점에서 본 기녀시조

A study on the Ecology and GinyeoSijo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기녀 시조문학의 한 양상 연구 - 기생 잡지 <장한(長恨, 1927년)>에 수록된 시조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Ginyeo Si-Jo literature in the 1920'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기녀시조와 규방가사의 恨의 표출양상 비교연구 - 개방적 표출과 폐쇄적 표출 -

The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Han showed by Gisaeng Sijo and Women' quarters' lyrics - Open expression VS Closed expression -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녀 시조의 자기표현 양상 연구 18세기 가집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 of self-expression written in Gi-nye Si-jo

한어문교육 | 22 | 2010 | 국어교육

기녀 시조의 자기표현 양상 연구 18세기 가집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 of self-expression written in Gi-nye Si-jo

한어문교육 | 22 |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