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직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393

STNet ID : 1000198

한자 : 妓生
동의어(UF) : 기녀(妓女)
음차어 : Gisaeng
음차어 : Kisaeng
기타 : Jinü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여자

a01-06-01 인간(직업)

성별

여자

연령

[연령구분없음]

직업분류(군)

서비스종사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녀 시조 () [ 妓女時調 ]

S:동의

UF (비우선어)

 

 

해어화 () [ 解語花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하층 여성 [ 下層女性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팔천 [ 八賤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통영 권번 [ 統營券番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게이샤 [ 藝者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명기 (기생) [ 名妓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관기 [ 官妓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교방청 [ 敎坊廳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혜원풍속도 [ 蕙園風俗圖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교방 () [ 敎坊 ]

관서․관북 지역의 시가 향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Enjoyment of Siga at Kwanseo and Kwanbuk Area in Chosun Dynasty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녹파잡기(綠波雜記)》를 통해본 강남 서적의 유입과 그 영향

A Study on an influx of books from the Jiangnan and its consequences in Nokpa-miscellanea (綠波雜記)

중국학논총 | 29 | 2010 | 중국문화학

《녹파잡기(綠波雜記)》를 통해본 강남 서적의 유입과 그 영향

A Study on an influx of books from the Jiangnan and its consequences in Nokpa-miscellanea (綠波雜記)

중국학논총 | | 29 | 2010 | 중국문화학

연극장 풍속개량론과 경찰 통제의 극장화

Reformation and Police Regulation of the Public Theatre, and its Theatricalization: Before and After 1910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연극장 풍속개량론과 경찰 통제의 극장화

Reformation and Police Regulation of the Public Theatre, and its Theatricalization: Before and After 1910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일제강점기 위생담론과 화류병 : 화류병 치료제 광고를 중심으로

The Sanitation Discourse and the Hwalyupyeng(diseas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advertisements of sanitation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hwalyupyeng)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마산오광대의 연행 배경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laying background of Masan O-gwangdai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산오광대의 연행 배경에 대하여

A Study on the playing background of Masan O-gwangdai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인물 형상

A Study of Secondary Characters in ChoUng-Jeon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웅전의 인물 형상

A Study of Secondary Characters in ChoUng-Jeon

한국언어문학 | 82 | 2012 | 한국어와문학

朝鮮朝 使行詩의 哀歡과 로맨스의 世界 -百拙齋 韓應寅과 東岳 李安訥의 사행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연행가사의 국내 여정에 나타난 취한 사행의 모습과 그 의미

Drunken Joseon Envoys to Beijing Appeared in Yeonhaenggasa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16세기 星州 지역 妓生과 樂工의 존재 양상–『墨齋日記』를 중심으로

Gisaeng; Korean geisha and court musicians of Seongju area in the 16C - focused on 『Mukjaeilgi』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이전 한글 애정 편지의 양상과 특징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remodern Hangeul Love Letters in the pre-modern

한국학연구 | 38 | 2011 | 기타인문학

사행록에 기록된 지방공연문화의 변모양상

Varied Aspects of Provincial Performance Culture Recorded in the Record of Envoys' Visit to Japan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사행록에 기록된 지방공연문화의 변모양상

Varied Aspects of Provincial Performance Culture Recorded in the Record of Envoys' Visit to Japan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16세기 星州 지역 妓生과 樂工의 존재 양상–『墨齋日記』를 중심으로

Gisaeng; Korean geisha and court musicians of Seongju area in the 16C - focused on 『Mukjaeilgi』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사행록에 기록된 지방공연문화의 변모양상

Varied Aspects of Provincial Performance Culture Recorded in the Record of Envoys' Visit to Japan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사행록에 기록된 지방공연문화의 변모양상

Varied Aspects of Provincial Performance Culture Recorded in the Record of Envoys' Visit to Japan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녹파잡기(綠波雜記)》를 통해본 강남 서적의 유입과 그 영향

A Study on an influx of books from the Jiangnan and its consequences in Nokpa-miscellanea (綠波雜記)

중국학논총 | 29 | 2010 | 중국문화학

《녹파잡기(綠波雜記)》를 통해본 강남 서적의 유입과 그 영향

A Study on an influx of books from the Jiangnan and its consequences in Nokpa-miscellanea (綠波雜記)

중국학논총 | | 29 | 2010 | 중국문화학

『모던 일본』 조선판에 나타난 ‘조선적인 것’의 형상화 전략 ―일본인 작가의 소설과 수필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Strategy of 'Chosunness' in Modern-nihon Chosun editions : Focused on Short stories and Essays of Japanese Writers

현대문학이론연구 | 44 | 2011 | 문학이론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The Underside of Modern Love: Focusing on the “Double Suicide for Love”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The Underside of Modern Love: Focusing on the “Double Suicide for Love”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춘향의 이미지 생산과 문화적 정립-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Producing the Image of Chunhayng and Its Cultural Context-focusing on the Chunhyangje in Namwon-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일본의 박람회와 기생의 가무(歌舞) 활동

Exposition of Japan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Kisaeng in the Early Modern Society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The Underside of Modern Love: Focusing on the “Double Suicide for Love”

한국문화 | 49 | 2010 | 기타인문학

근대적 사랑의 이면: ‘정사’(情死)를 중심으로

The Underside of Modern Love: Focusing on the “Double Suicide for Love”

한국문화 | | 49 | 2010 | 기타인문학

춘향의 이미지 생산과 문화적 정립-남원 춘향제를 중심으로-

Producing the Image of Chunhayng and Its Cultural Context-focusing on the Chunhyangje in Namwon-

실천민속학 연구 | 19 | 2012 | 역사학

연행가사의 국내 여정에 나타난 취한 사행의 모습과 그 의미

Drunken Joseon Envoys to Beijing Appeared in Yeonhaenggasa

한국학논집 | | 40 | 2010 | 기타인문학

<게우사>에 나타난 '가정'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

A Study on Awareness and Meaning of Family in a Novel "Geusa"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일본의 박람회와 기생의 가무(歌舞) 활동

Exposition of Japan and Performing Activities of Kisaeng in the Early Modern Society

공연문화연구 | 24 | 2012 | 기타예술일반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女唱歌曲에 나타난 애정의 양상과 의미

Representation of Love in the Yochang-gagok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한국학논집 | 43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II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The Official Life and Change of Status of Kisaeng(妓生)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ly on 'Kisaeng-ahn(妓生案)'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The Official Life and Change of Status of Kisaeng(妓生)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ly on 'Kisaeng-ahn(妓生案)'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강점기 기록을 통해 본 춘앵전의 역사성

A Study on the Record and History of Chunaengjeon(春鶯)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무용예술학연구 | 29 | 29 | 2010 | 무용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과 영화적 전통의 형성

Female spectators and formation of cinematic tradition in 1920s~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과 영화적 전통의 형성

Female spectators and formation of cinematic tradition in 1920s~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상서사에 재현된 황진이 이야기의 두 가지 방식 —드라마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of the Drama Hwang Jin-yi and the Movie Hwang Jin-yi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영상서사에 재현된 황진이 이야기의 두 가지 방식 —드라마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of the Drama Hwang Jin-yi and the Movie Hwang Jin-yi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琴仙, 사회적 관계망과 정체성 찾기

Social Identity and Daily Thinking of Keumsun(琴仙), Gisaeng lived in Haejoo in the 19th century

동양한문학연구 | 30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Historical Accomplishments of Chunhyangjeon against the Criminal Law and Social Ideology of the Joseon State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植民地期 日本人 作家, 우스다 잔운 薄田斬雲의 朝鮮 見聞記에 관한 고찰 -기생(妓生)관련 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velogue to Choseon by Usuda Zanun, a Japanese Writer who was a resident in Choseon at the colony period - With his description of Gisaeng at the Center-

외국문학연구 | 45 | 2012 | 문학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Historical Accomplishments of Chunhyangjeon against the Criminal Law and Social Ideology of the Joseon State

역사비평 | 99 | 2012 | 역사학

「부용의 상사곡」에 나타난 평양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의미

The Cultural Phenomenon and Its Significance of Pyungyang that Appear on Buyong-sangsagok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세습무 은어와 예인집단 은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eseupmu jargon and artist collective jargon

민속학연구 | 27 | 2010 | 역사학

세습무 은어와 예인집단 은어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seseupmu jargon and artist collective jargon

민속학연구 | | 27 | 2010 | 역사학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과 영화적 전통의 형성

Female spectators and formation of cinematic tradition in 1920s~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여성 관객의 영화 체험과 영화적 전통의 형성

Female spectators and formation of cinematic tradition in 1920s~1930s

현대문학의 연구 | | 40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생 '백운선'을 콘텐츠로 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고찰 -『매일신보』에 연재된 「백운선의 비밀」을 중심으로 -

Study on kisaeng Baekunseon possibilities of storytelling as a contents -『Maeilsinbo』serialize in Secrets of Baekunseon around

어문론집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생 '백운선'을 콘텐츠로 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고찰 -『매일신보』에 연재된 「백운선의 비밀」을 중심으로 -

Study on kisaeng Baekunseon possibilities of storytelling as a contents -『Maeilsinbo』serialize in Secrets of Baekunseon around

어문론집 | 43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기록을 통해 본 춘앵전의 역사성

A Study on the Record and History of Chunaengjeon(春鶯)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무용예술학연구 | 29 | 29 | 2010 | 무용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The Official Life and Change of Status of Kisaeng(妓生)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ly on 'Kisaeng-ahn(妓生案)'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妓生案’을 통해본 조선후기 기생의 公的삶과 신분 변화

The Official Life and Change of Status of Kisaeng(妓生) in the late Chosun Dynasty: Mainly on 'Kisaeng-ahn(妓生案)'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부용의 상사곡」에 나타난 평양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의미

The Cultural Phenomenon and Its Significance of Pyungyang that Appear on Buyong-sangsagok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영상서사에 재현된 황진이 이야기의 두 가지 방식 —드라마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of the Drama Hwang Jin-yi and the Movie Hwang Jin-yi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영상서사에 재현된 황진이 이야기의 두 가지 방식 —드라마 <황진이>와 영화 <황진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Narrative of the Drama Hwang Jin-yi and the Movie Hwang Jin-yi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18세기 함흥 기생 可憐의 문학적형상화와 그 의미

The Image and Cultural Meaning on Gisaeng Garyeon in the 18th Century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함흥 기생 可憐의 문학적형상화와 그 의미

The Image and Cultural Meaning on Gisaeng Garyeon in the 18th Century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화의 담지자(擔持者) 기생(妓生) II - 대구 지역 문화 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Kisaeng, a Vector of Modernization: Possibility as a Cultural Content of the Daegu Region II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기생의 가창 활동을 통한 근대에의 대응

The Challenges of Gisaeng through Vocal Performances to the Modernization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기생의 가창 활동을 통한 근대에의 대응

The Challenges of Gisaeng through Vocal Performances to the Modernization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 속 관서․관북 지역의 형상화와 그 의미

Figuration of Northwestern-Northeastern Reg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Ancient Korean Novels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18세기 함흥 기생 可憐의 문학적형상화와 그 의미

The Image and Cultural Meaning on Gisaeng Garyeon in the 18th Century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함흥 기생 可憐의 문학적형상화와 그 의미

The Image and Cultural Meaning on Gisaeng Garyeon in the 18th Century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老妓의 경제 현실과 섹슈얼리티

Economic Reality and Sexuality of an old Kisaeng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The Classification of Chivalrous Gisae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The Classification of Chivalrous Gisae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 속 관서․관북 지역의 형상화와 그 의미

Figuration of Northwestern-Northeastern Reg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Ancient Korean Novels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기생을 바라보는 근대의 시선 -근대 초기 신문 매체에 나타난 기생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A view of modernity toward Kisaeng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Kisaeng shown in the newspapers of the early moder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서사물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함정

The Predicament of the Kisaeng Sexuality Embedded in the Narratives of the Joseon Era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A comparison on Songi's and Hwangjini's sijo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방송출연과 음반취입을 통한 기생의 음악활동

The gisaeng’s musical activity through broadcasting station appearance and phonographic record

국악교육 | 29 | 29 | 2010 | 한국음악이론/분석

기생을 바라보는 근대의 시선 -근대 초기 신문 매체에 나타난 기생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A view of modernity toward Kisaeng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Kisaeng shown in the newspapers of the early modern period-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4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 서사물에 나타난 기생 섹슈얼리티의 함정

The Predicament of the Kisaeng Sexuality Embedded in the Narratives of the Joseon Era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A comparison on Songi's and Hwangjini's sijos

시조학논총 | 35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2010 | 무용

근대 서구식 극장 설립에 따른 기생공연의 변모 양상

A trend of Gisaengʼs dance performance on modern western theater establishment

무용역사기록학 | 19 | | 2010 | 무용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The Classification of Chivalrous Gisae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후기 俠妓의 유형과 그 의미

The Classification of Chivalrous Gisae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강점기 기생춤을 통해 본 근대 무용의 전개과정

The Introductory Process of Modern Dances throughout the History of Gisaeng Da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한국체육사학회지 | 17 | 2 | 2012 | 기타예술체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