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41

한자 : 鄭道傳
기타 : Jeong Do-jeon
호(號) : 삼봉(三峯)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종지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개국공신 () [ 開國功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태조 이성계 (1392-1398) [ 太祖李成桂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태종 (1400-1418) [ 太宗 ]

hasOpposition (대항/억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정사공신 [ 定社功臣 ]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여말 선초 절의파(節義派)의 고민: 출사(出仕)와 은둔(隱遁)의 기로

The Agony of the Confucians in the Transitional Age from the Goryu to the Chosun Dynasty: Enter into new dynasty service or live in seclusion?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2 | 1 | 2010 | 정치외교학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A Study on Yurimga(儒林歌)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鮮初 樂章 「儒林歌」 연구

A Study on Yurimga(儒林歌)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Consciousness about the Buddhist critique that appeared in the Ihagjibbyeon(『이학집변』) of the Lyu-gunhyu(류건휴)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景濂亭 卓光茂의 삶과 시적 具顯

Tak Gwang Mu's Life and His Poetic Realization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柳健休의 『異學集辨』에 나타난 불교 비판 의식

Consciousness about the Buddhist critique that appeared in the Ihagjibbyeon(『이학집변』) of the Lyu-gunhyu(류건휴)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三峯 鄭道傳 詩의 表現 樣相과 美意識

The Expressive aspec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Jeong Do-jeon'(鄭道傳)s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三峯 鄭道傳 詩의 表現 樣相과 美意識

The Expressive aspec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in Jeong Do-jeon'(鄭道傳)s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불교계의 유불교섭과 철학적 담론

The Exchanges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the Philosophical Discussion of Buddhist Society In Joseon Dynasty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三峰 鄭道傳의 改革思想

A Study for Sambong Jung Dojeon's Spirit of Reformation

동양철학연구 | 70 | 2012 | 철학

정도전(鄭道傳)과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의 국가관 비교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과 『신황정통기(神皇正統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Jeong Do-jeon with Kitabakate Chikahusa

日本思想 | 18 | 2010 | 철학

정도전(鄭道傳)과 기타바타케 지카후사(北畠親房)의 국가관 비교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과 『신황정통기(神皇正統記)』를 중심으로-

A Comparison of Jeong Do-jeon with Kitabakate Chikahusa

日本思想 | | 18 | 2010 | 철학

정도전 사상과 현대 한국정치 -정치가 양성을 중심으로-

Jeong Do-jeon′`s Thought and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Focusing on the Statesman Education

한국학논집 | 47 | 2012 | 기타인문학

鄭道傳의 創業論과 사상사적 위상

Jeong Do-jeon's Theory of Founding a New Nation and its Position on Ideological Histor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

鄭道傳의 創業論과 사상사적 위상

Jeong Do-jeon's Theory of Founding a New Nation and its Position on Ideological History

동양문화연구 | 8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