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이성계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9110

STNet ID : 1002655

한자 : 太祖李成桂
동의어(UF) : 조선 태조
기타 : King Taejo
재위기간 : 1392-1398
동의어(UF) : 이성계(李成桂)
동의어(UF) : 태조(太祖)
음차어 : Yi Seong-gye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출생지

영흥부 (永興府)

생몰년_t

1335-1408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S:동의

UF (비우선어)

 

중결 [ 仲潔 ]

UF (비우선어)

 

송헌 [ 松軒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22세(21대손)

a01-04-07 성씨 성씨

전주 이씨 [ 全州李氏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01

a01-04-02 국민 국민
a01-04-02 국민 /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R] 조선 국왕 () [ 朝鮮國王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무학 [ 無學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태조진전 [ 太祖眞殿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건원릉 [ 健元陵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문소전 () [ 文昭殿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도전 (1342-1398) [ 鄭道傳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태조실록 [ 太祖實錄 ]

RT (관련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태조대왕태실 [ 太祖大王胎室 ]

RT (관련어)

부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경정 공주 [ 慶貞公主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의왕후 [ 神懿王后 ]

RT (관련어)

부부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덕왕후 () [ 神德王后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우 () [ 李芳雨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연 [ 李芳衍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간 () [ 李芳幹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석 () [ 李芳碩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번 () [ 李芳蕃 ]

RT (관련어)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방의 () [ 李芳毅 ]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종 (1398-1400) [ 定宗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창왕 (1388-1389) [ 昌王 ]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우왕 (1374-1388) [ 禑王 ]

高麗 건국기 西南海 지방세력의 동향 - ― 羅州 호족의 활동을 중심으로

On the trend of power around the southwest coast region in the early Goryo dynasty- with specific reference to the activities of powerful families in Naju

역사와 담론 | 58 | 2011 | 역사학

두만강신의 성격과 의미 연구 - 조선족 두만강전설을 대상으로 -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Dumangang Deity: Focused on the legend of Dumangang of the Chosunjok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두만강신의 성격과 의미 연구 - 조선족 두만강전설을 대상으로 -

The Character and Meaning of Dumangang Deity: Focused on the legend of Dumangang of the Chosunjok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세종 초 上王(太宗)의 궁궐경영과 그 정치적 의미 - 壽康宮·豊壤離宮을 중심으로 -

Palace constructions by the former king(上王) Taejong(太宗), in the early days of King Sejong(世宗)’s reign, and political meanings - focused on Sugang palace(壽康宮) and Pung’yang Residence(豊壤離宮) -

서울학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肅宗 45년, 국왕의 耆老所 입소 경위와 그 정치적 함의 - 세자(景宗) 代理聽政의 명분적 보강 -

Sukjong/肅宗's Entrance into the Chamber of Elders(耆老所),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that decision - Justifying the Crown-prince(Gyeongjong/景宗)'s Overseeing of the Governance -

역사문화연구 | 43 | 2012 | 역사학

18-19세기 咸鏡道 王室史蹟의 시각화 양상과 의의

The Visualiz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ical Sites of Joseon Royal Family in Hamgyeong Province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한국학 | 35 | 1 | 2012 | 기타인문학

高麗 太祖代 對中國 海上航路와 外交·貿易

The Sea Trade Route, Foreign Affairs, and Trade with China under the Reign of King Taejo of the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The Image of Jeong Mong-ju(鄭夢周) in Early Joseon Silrok History in Literature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The category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李成桂) and the Jurchen(女眞) before division of territory and it's pattern recognition as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Foundation of Choseon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ales about Yi Seong-gye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고려말 이성계의 정적

Yi Sung-gye’s Political Opponents in Late Goryeo

한국중세사연구 | 31 | 2011 | 역사학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개경 전투

Yi Song-gye's Wiwha-do retreat and Gaekyoung battle

국학연구 | 20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조선 태조・세종대 세자빈 폐출 사건의 의미 -현빈 유씨, 휘빈 김씨, 순빈 봉씨를 중심으로-

The significance of the expulsion of the Crown princess under the reign of Taejo and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Hyenbin Ue, Whubin Kim, and Sunbin Bong -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