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유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423

STNet ID : 1003253

한자 : 張維
시호(諡號) : 문충(文忠)

y01-01 실존인물

시대

조선 중기 (朝鮮中期)

저작

[R] 구조 기능 주의 -> 60375

지위/신분

문신 (文臣)

생몰년_t

1587년 ~ 1638년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지국

UF (비우선어)

 

묵소

UF (비우선어)

 

계곡

R1:개념적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누정기 [ 樓亭記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신흠 () [ 申欽 ]

16~17세기 ‘立言’․‘立言垂後’에 대한 意識과 受容 맥락

Context of the Consciousness and Acceptance of the ‘Expression of One’s Opinion' and ‘the Immortal Work' of the ‘16~17th' Centur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16~17세기 ‘立言’․‘立言垂後’에 대한 意識과 受容 맥락

Context of the Consciousness and Acceptance of the ‘Expression of One’s Opinion' and ‘the Immortal Work' of the ‘16~17th' Century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입암 민제인의 인간관

立巖閔齊仁之人間觀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입암 민제인의 인간관

立巖閔齊仁之人間觀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Accepting Zhuang Zi(莊子)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Accepting Zhuang Zi(莊子) in the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하곡 생리설의 철학사적 의의

霞谷生理说的哲学史之意义

양명학 | 30 | 2011 | 철학

谿谷 張維와 屈騷關聯 硏究

A Study on Ge-gog(谿谷), Jang-yu(張維) in relation to Cho-sa(楚辭)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壺谷 南龍翼의 使行詩를 통해 본 對日․對淸 意識의 樣相과 意味

Aspect and meaning of the sense toward Japan and China through quatrain of HoGok Nam,Yongik

漢文學報 | 24 | 2011 | 한문학

谿谷 張維와 屈騷關聯 硏究

A Study on Ge-gog(谿谷), Jang-yu(張維) in relation to Cho-sa(楚辭)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張維의 辭賦文學 — 修身 頌祝 呪術 —

Jang yu’s Sa-bu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張維의 辭賦文學 — 修身 頌祝 呪術 —

Jang yu’s Sa-bu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谿谷 張維의 漢詩에 나타난 ‘楚辭’ 수용의 미의식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o-sa(楚辭) mentioned in Gae-kog(谿谷) Chang-yu(張維)' Chinese poetry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