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단원

연구분야 : B1201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학일반

클래스 :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725

STNet ID : 1003445

한자 : 統合單元
영어 : integrated units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통합 교육과정 () [ 統合敎育課程 ]

RT (관련어)

 

 

통합 교육 (일반) [ 統合敎育 ]

한국과 프랑스의 초등 교과서 문법 교육 비교

Study on Grammar Education of Elementary Textbook between Korea and France

국어교육학연구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주제중심 ‘통합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실태 분석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matic Integrated Unit’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주제중심 ‘통합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실태 분석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matic Integrated Unit’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통합 단원 개발 원리 탐색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Unit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청람어문교육 | 45 | 2012 | 국어교육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에서 ‘통합단원’ 운영과 지도에 대한 초등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into Teachers’ Experience on Management of Integrated Unit in Integrated Text Book: Based on Three Elementary Teachers’ Stories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에서 ‘통합단원’ 운영과 지도에 대한 초등 교사의 내러티브 탐구

A Narrative Inquiry into Teachers’ Experience on Management of Integrated Unit in Integrated Text Book: Based on Three Elementary Teachers’ Stories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통합단원 ‘함께하는 한가위’ 재구성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Restructuring the Integrated Unit, 'Sharing Together Hangawee' of the First Grade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통합단원 ‘함께하는 한가위’ 재구성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Restructuring the Integrated Unit, 'Sharing Together Hangawee' of the First Grade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통합단원을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수업의 실행

A Practice of Integrated Theme-Based Class Which Applies Integrated Unit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통합단원을 활용한 주제중심 통합수업의 실행

A Practice of Integrated Theme-Based Class Which Applies Integrated Units of Integrated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