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교육과정

연구분야 : B1202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과정

클래스 : 모델/모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2912

STNet ID : 1001984

한자 : 統合敎育課程

e02-01 모델/모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교육과정 () [ 敎育課程 ]

S:동의

UF (비우선어)

 

 

교육과정 통합 ()

UF (비우선어)

 

 

통합중심 교육과정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교과중심 교육과정 () [ 敎科中心敎育課程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범교과 학습 [ 汎敎科學習 ]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초등 통합 교육과정 () [ 初等統合敎育過程 ]

hasKind (종류)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학제 간 협동 과정 () [ 學際間協同過程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주제중심 통합 학습 () [ 主題重心統合學習 ]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간학문적 접근 () [ 間學問的接近 ]

RT (관련어)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통합 단원 () [ 統合單元 ]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지구어로서의 영어교육 [ 地球語--英語敎育 ]

RT (관련어)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통합 학습 [ 統合學習 ]

RT (관련어)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실용주의 교육 () [ 實用主義敎育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STEAM 교육 () [ --敎育 ]

RT (관련어)

 

 

통합 교육 (일반) [ 統合敎育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y02-01 문헌명 문헌명

우리들은 1학년 [ --一學年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교과 통합 () [ 敎科統合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통합 교과 () [ 統合敎科 ]

프로젝트 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나타난 영유아반 교수활동 분석

An Analysis of Teaching Activities Focusing on Projec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Class

한국교원교육연구 | 28 | 2 | 2011 | 교육학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Implications and Successful Factors of Finnish Comprehensive School Education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2 | 2011 | 교육학

창의적 인재 교육을 위한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인식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1 | 2012 | 교육학

과학활동을 통합한 음악 소리활동이 유아의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iveness of musical sound activities integrated with science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musical creativity

유아교육연구 | 31 | 6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통합단원 ‘함께하는 한가위’ 재구성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Restructuring the Integrated Unit, 'Sharing Together Hangawee' of the First Grade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통합단원 ‘함께하는 한가위’ 재구성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on Restructuring the Integrated Unit, 'Sharing Together Hangawee' of the First Grade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Phenix의 초월지향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이해

A Critical Understanding on Phenix’s Transcendence-oriented Curriculum

교육사상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Integrating Elementary Music Classwith Language Instruction

음악교육공학 | 10 | 2010 | 음악학

초등학교 음악수업에서음악과 언어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의 탐색

Integrating Elementary Music Classwith Language Instruction

음악교육공학 | | 10 | 2010 | 음악학

협동적 미술 활동을 통한 평화교육의 실천 - 키즈 게르니카 평화의 벽화 프로젝트 -

Peace Education through Collaborative Art Making : Kids’ International Peace Mural Project

미술교육연구논총 | 29 | 0 | 2011 | 예술교육학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An inquiry into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Ken Wilber's AQAL Theory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Ken Wilber의 4상한이론(AQAL)을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모색

An inquiry into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Ken Wilber's AQAL Theory

교육과정연구 | 28 | 1 | 2010 | 교육학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Meanings and Practicability of Korea STEAM Education

초등교육연구 | 25 | 3 | 2012 | 교육학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실 적용 난점과 해결방안 탐색

Exploration of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PBL) to the Class and the Solution

교육과정평가연구 | 15 | 1 | 2012 | 교육학

외국의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Music and Arts Curriculum for Lower Graders in Foreign Elementary Schools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1 | 2011 | 교육학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The History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1 | 2012 | 교육학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Disciplined Life Curriculum as Integrated Curriculum

통합교육과정연구 | 6 | 1 | 2012 | 교육학

미술과 중심의 통합교육 탐구

Integrated education centered in art activities

미술교육연구논총 | 31 | 0 | 2012 | 예술교육학

Learning about Curriculum Integration in Hong Kong and South Korea

한국 방문을 하며 내가 배운 것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Learning about Curriculum Integration in Hong Kong and South Korea

한국 방문을 하며 내가 배운 것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1 | 2010 | 교육학

사회과 선택교육과정 통합의 전략 연구 - '법'과 '정치'에서, '법과 정치'로 -

A Study of Strategies for Integrating Social studies' Elective Curriculum- From 'Law' and 'Politics', to 'Law and Politics' -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사회과 선택교육과정 통합의 전략 연구 - '법'과 '정치'에서, '법과 정치'로 -

A Study of Strategies for Integrating Social studies' Elective Curriculum- From 'Law' and 'Politics', to 'Law and Politics' -

법교육연구 | 5 | 1 | 2010 | 기타교육학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Integrated Curricular Characteristicsof the Music Activities in "Pleasant Life"

음악교육공학 | 10 | 2010 | 음악학

‘즐거운 생활’에서 음악적 활동의 통합교과적 특성

Integrated Curricular Characteristicsof the Music Activities in "Pleasant Life"

음악교육공학 | | 10 | 2010 | 음악학

주제별 교과서의 등장 - 초등통합교육과정에 주는 의미 -

The Implications of the Thematic Textbooks Advent for the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2 | 2011 | 교육학

주제중심 ‘통합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실태 분석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matic Integrated Unit’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주제중심 ‘통합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 실태 분석

Study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ation of ‘Thematic Integrated Unit’

통합교육과정연구 | 4 | 2 | 2010 | 교육학

초등학교 1,2학년 왜 통합교육과정이어야 하나?

Why integrate for The First to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통합교육과정연구 | 5 | 1 | 2011 | 교육학

초등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인식 및 단원 재구성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concep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ir process of curriculum reconstruction

교육과학연구 | 43 | 2 | 2012 | 교육학

초등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A Study for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Exploration of Reform Directions

초등교육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

초등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A Study for the Meaning of Integrated Curriculum Us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nd Exploration of Reform Directions

초등교육연구 | 23 | 2 | 2010 | 교육학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A Study on the Systematic Appropriateness of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Pleasant Life' Focused on Learning Music

교원교육 | 26 | 3 | 2010 | 교육학

음악학습을 중심으로 본 초등 통합교과 ‘즐거운 생활’ 체제 적절성 탐색

A Study on the Systematic Appropriateness of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Pleasant Life' Focused on Learning Music

교원교육 | 26 | 3 | 2010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