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규칙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기준/규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910

STNet ID : 1003570

한자 : 就業 規則

e02-03 기준/규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겸직 [ 兼職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인사권 [ 人事權 ]

RT (관련어)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정당한 이유 [ 正當-- 理由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노동 조합 () [ 勞動組合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근로자 [ 勤勞者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취업규칙 변경 [ 就業規則 變更 ]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고용노동부 [ 雇傭勞動部 ]

isManagedBy (관리 주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사용자 [ 使用者 ]

manages (관리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퇴직금 [ 退職金 ]

고령자 고용법제의 현황과 과제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n Legislation with regard to Employment of the Aged

노동법논총 | 23 | 2011 | 노동법

한국에서의 근로자의 경영참가 법리의 향방

韓国における労働者の経営参加法理の在り方 A Direction for Workers' Participations in the Management and the Law in Korea

동아법학 | 50 | 2011 | 법학

종업원대표제 재구축의 필요성과 기본 방향

Rebuilding the Employee Representation System:Necessity and Basic Direction

산업관계연구 | 21 | 2 | 2011 | 경영학

2009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Judicial Precedent of Labor Cases in 2009

인권과 정의 | 403 | 2010 | 법학

2009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Judicial Precedent of Labor Cases in 2009

인권과 정의 | | 403 | 2010 | 법학

노동법에서의 학설, 그 현상과 문제점- 노동법의 몇 가지 주요 쟁점에 대한 논평

Rechtslehre im Arbeitsrecht - kritische Anmerkungen zu ausgewählten arbeitsrechtlichen Themen

안암법학 | 31 | 2010 | 법학일반

노동법에서의 학설, 그 현상과 문제점- 노동법의 몇 가지 주요 쟁점에 대한 논평

Rechtslehre im Arbeitsrecht - kritische Anmerkungen zu ausgewählten arbeitsrechtlichen Themen

안암법학 | | 31 | 2010 | 법학일반

就業規則制度의 比較法的 一考察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ystem of Works Rules

경희법학 | 45 | 4 | 2010 | 비교법학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개념에 대한 일고찰 ― 취업규칙법론의 재정립을 위해 ―

Eine arbeitsrechtliche Untersuchung auf den Begriff der “Arbeitsordnung” im Arbeitsnormengesetz: Zur Rekonstraktion des Arbeitsordnungsrechts

노동법학 | 42 | 2012 |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