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클래스 :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14

STNet ID : 1003646

한자 : 聽者
영어 : hearer

a01-06-03 인간(역할)

연령

영유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화자와 청자 [ 話者--聽者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상대 높임법 () [ 相對--法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화법 [ 話法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듣기

RT (관련어)

대응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화자 [ 話者 ]

RT_Y (◄관련어)

관련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대응쌍 [ 對應-- ]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문답법의 윤리적 의미와 ‘감정’의 문제

Die ethische Bedeutung der Dialektik und das Problem des Gefühls in Platonischen Dialogen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설화전승자의 의식 변화와 ‘祭祀說話’의 미래 - <644-3 제사 차린 정성 부족하다고 해 끼친 혼령>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of oral transmission of the 'folktales' especially about the 'folktales related to ancestor memorial rites'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설화전승자의 의식 변화와 ‘祭祀說話’의 미래 - <644-3 제사 차린 정성 부족하다고 해 끼친 혼령> 설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ture of oral transmission of the 'folktales' especially about the 'folktales related to ancestor memorial rites'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말과 입말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쉼’과 ‘문장’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erformance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focused on the ‘sentence’ and ‘pause’-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서사 속의 말과 그 문화적 의미

The talking in the narratives of Chosun dynasty and its cultural meaning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The Chronological Study on Hanseong Period of Baekje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외국어 음성지각과 생성의 경험적 효과 - 음성적 정보와 이미지의 연계성 -

Effets de l'expérience sur la production et la perception en L2 - Connexion entre la voix et l'image -

프랑스어문교육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외국어 음성지각과 생성의 경험적 효과 - 음성적 정보와 이미지의 연계성 -

Effets de l'expérience sur la production et la perception en L2 - Connexion entre la voix et l'image -

프랑스어문교육 | | 3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담론 구조를 통해 본 <서경별곡>의 성격과 그 교육적 의의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Positioning by Discourse Theory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Three Types of Anaphors and their Binding Behavior

세 유형의 대용어와 그들의 결속행태

영어영문학 | 16 | 1 | 2011 | 영어와문학

고등학생의 공식적 말하기에 대한 불안 연구 -화법 구성 요소와 말하기 불안의 상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eech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 on correlation between oral communication component and speech anxiety-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고등학생의 공식적 말하기에 대한 불안 연구 -화법 구성 요소와 말하기 불안의 상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Speech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 on correlation between oral communication component and speech anxiety-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이야기’의 소설적 수용과 의미 - 김동리의 『무녀도』 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velistic Acceptance of Narrative and the Meaning -Focused on Munyeodo, Kim, Dong-ri’s Novel

국어문학 | 51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의 ‘p/k 교체’에 대하여

On the p/k alternation of Korean

국어국문학 | 158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남아시아 도자기에 보이는 중국도자기의 영향 -베트남, 타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inese Porcelain in Southeast Asian Pottery and Porcelain - Focused on Vietnam and Thailand -

한국도자학연구 | 7 | 2 | 2011 | 기타미술

Ein kleiner Beitrag zum ‘Publikum’ in der Rhetorik

수사학에서 청중을 위한 소고

수사학 | 15 | 2011 | 기타인문학

청자 지향적 관점의 반복표현 연구

A Study on Repetition in the pointview of listeners

일본근대학연구 | 28 | 2010 | 일본문화학

청자 지향적 관점의 반복표현 연구

A Study on Repetition in the pointview of listeners

일본근대학연구 | | 28 | 2010 | 일본문화학

APPROCHE SEMIO-NARRATIVE DE «LA CHEVRE DE M. SEGUIN»

『세겡씨의 염소LA CHEVRE DE M. SEGUIN』의 기호학적-서술적 분석

프랑스학연구 | 5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상황 주체 높임 ‘-시-’의 확산과 배경

The Diffusion of Honorific Ending ‘-Si-' for the Situation Subject and its Backgrounds

언어과학연구 | 55 | 2010 | 언어학

상황 주체 높임 ‘-시-’의 확산과 배경

The Diffusion of Honorific Ending ‘-Si-' for the Situation Subject and its Backgrounds

언어과학연구 | | 55 | 2010 | 언어학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55 | 2010 | 역사학

麗末鮮初 蔚山地域의 磁器에 대한 硏究 -청자에서 분청사기로의 변화에 대하여-

A Study on Ceramics in Ulsan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 Regarding changes from celadon to Buncheong ware -

영남고고학 | | 55 | 2010 | 역사학

대인의식으로 보는 한일 언어행동의 차이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verbal behavior by the consciousness of personal relations

일어일문학연구 | 82 | 1 | 2012 | 일본어와문학

14세기 銅器의 유행과 그 의미 : 고려시대 분묘 유적을 중심으로

The fashion of bronzeware and the meaning, in 14th century : focusing on grave goods in remains of Koryo tumb.

석당논총 | 51 | 2011 | 기타인문학

고려시대 교태(絞胎)연리문(練理文)자기의 연원과 제작시기

Research on the Origins and Production methods of marbling formative in Goryeo period

역사와 담론 | 6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