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토기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72

STNet ID : 1003684

한자 : --土器
동의어(UF) : 즐목문 토기(櫛目文土器)
동의어(UF) : 즐문 토기(櫛文土器)
동의어(UF) : 유문토기(有文土器)
동의어(UF) : 어골문 토기(魚骨文土器)
동의어(UF) : 기하문 토기(幾何紋土器)
동의어(UF) : 기하학문토기(幾何學紋土器)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신석기 시대 () [ 新石器時代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무늬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토기 () [ 土器 ]

대동강유역 신석기시대 무문양토기 연구

A Study on Plain Pottery of the Neolithic Age in Deadong River Area

한국신석기연구 | 20 | 2010 | 역사학

대동강유역 신석기시대 무문양토기 연구

A Study on Plain Pottery of the Neolithic Age in Deadong River Area

한국신석기연구 | | 20 | 2010 | 역사학

韓國 新石器時代 무덤의 檢討

A Review of the Neolithic Tombs in Korea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韓國 新石器時代 무덤의 檢討

A Review of the Neolithic Tombs in Korea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1960년대 서울 암사동유적의 조사와 성과 -발굴조사 경위와 내용에 대한 소개를 중심으로-

Excavation and result of Seoul Amsa-dong site in the 1960s

고문화 | 77 | 2011 | 역사학

安城 月井里 新石器時代 住居址의 硏究

A Study of Neolithic Pit House at Woljeong-Ri Site, Anseong City

백산학보 | 93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