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공동정범

연구분야 :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인간(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98

STNet ID : 1003692

한자 : 共謀共同正犯

a01-05-03 인간(성향)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기능적 행위지배 [Functional Control of Crime]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a01-05-03 인간(성향) /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공범 [ 共犯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공동정범 [ 共同正犯 ]

정범론에 나타난 형사실무의 주관주의적 경향- 보라매병원 사건을 중심으로

An Critical Analysis on the Subjective Attitude of the Court in 'Principal' Decision of Parties to Crime

안암법학 | 31 | 2010 | 법학일반

정범론에 나타난 형사실무의 주관주의적 경향- 보라매병원 사건을 중심으로

An Critical Analysis on the Subjective Attitude of the Court in 'Principal' Decision of Parties to Crime

안암법학 | | 31 | 2010 | 법학일반

합헌적 법률해석의 원칙과 위헌적 법률해석의 통제범위와 기준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노677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statutes and the control of the ordinary court's judgements"

헌법학연구 | 18 | 1 | 2012 | 헌법

합동범에 대한 공모공동정범의성립여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Joint-principal Offender about Combinative-principle Offender

법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공모공동정범이론을 둘러싼 논쟁들의 현주소

Ein Beitrag zur sachgerechten Beurteilung der Meinungen um die Mittäterschaft durch Verabredung

법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Der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die täterschaftlichen Merkmale der Mittäterschaft durch einen gemeinsamen Tatplan“

형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Der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die täterschaftlichen Merkmale der Mittäterschaft durch einen gemeinsamen Tatplan“

형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

Die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Mittäterschaft ohne Tatbeteiligung

법학논고 | 32 | 2010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

Die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Mittäterschaft ohne Tatbeteiligung

법학논고 | | 32 | 2010 | 법학

판례에 나타난 공모공동정범의 형상(形象)과 문제점

Die Rechtsfigur der Mittäterschaft ohne Beteiligung an der Tatausführung in der koreanischen Rechtsprechung und ihre Problematik

성균관법학 | 24 | 2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