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정범

연구분야 :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인간(성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642

STNet ID : 1003089

한자 : 共同正犯
독일어 : Mittalterschaft
프랑스어 : coanteur

a01-05-03 인간(성향)

연령

영유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정범 [ 正犯 ]

isKindOf (상위 유형)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a01-05-03 인간(성향) /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공범 [ 共犯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승계적 공동 정범 [ 承繼的 共同正犯 ]

hasKind (종류)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과실범의 공동정범 [ 過失犯--共同正犯 ]

N2:부분

hasIngredient (성분/재료)

 

 

우연적공동정범

hasIngredient (성분/재료)

 

 

편면적공동정범

R1:개념적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공모공동정범 [ 共謀共同正犯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형사법 [ 刑事法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방조범 [ 幇助犯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동시범 [ 同時犯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합동범 [ 合同犯 ]

RT (관련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연속범 [ 連續犯 ]

RT (관련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기능적 행위지배 [Functional Control of Crime]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단독정범 [ 單獨正犯 ]

과잉방위에 있어서 착오와 공범

Irrtum und Teilnahme bei der Notwehruberschreitung

형사법의 신동향 | 31 | 2011 | 형법

포괄일죄와 연속범 및 공동정범성 - 주식시세조종행위(대법원 2011.1.13. 선고 2010도9927 판결)를 중심으로-

Zur Rechtsfigur der “fortgesetzten Handlung” und die Mittäterschaft nach der Austritt

저스티스 | 129 | 2012 | 기타법학

2010년 형법 중요 판례

A Review of the Criminal Cases of the Korean Supreme Court in 2010

인권과 정의 | 415 | 2011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Der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die täterschaftlichen Merkmale der Mittäterschaft durch einen gemeinsamen Tatplan“

형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Der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die täterschaftlichen Merkmale der Mittäterschaft durch einen gemeinsamen Tatplan“

형사법연구 | 22 | 2 | 2010 | 법학

부작위 상호간에 있어서 정범과 공범의 구별 및 공동정범의 성립 가능성

Unterscheidung zwischen Täterschaft und Teilnahme und Möglichkeit der Mittäterschaft bei den Unterlassungen

서울대학교 법학 | 52 | 1 | 2011 | 법학

공범성립에 있어서 위법의 연대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共犯成立における違法の連帯性に対する批判的考察

법학연구 | 34 | 2011 | 법학교육

형사특별법상 다수가담자의 형사책임 - 대법원 2011.5.13. 2011도2021판결의 정범성 판단에 대하여 -

Die Strafbarkeit mehrerer Beteiligten nach dem Nebenstrafrecht

성균관법학 | 24 | 2 | 2012 | 법학

2000년대 초기 대법원판례의 동향 -형법총칙 관련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Trends in the early 2000s, Supreme Court Cases - Supreme Court Cases focused on the relevant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

형법총칙상 공범 규정의 개정방향

Zur Reform der Teilnahmeklauseln im koreanischen Strafgesetzbuch

법학논집 | 14 | 4 | 2010 | 기타법학

공동정범과 방조범의 구별을 전제로 한 공동정범의 방조범으로 공소장변경의 필요성

Veränderungsbedarf der Anklageschrift im Bereich der Mittäterschaft und Beihilfe

법조 | 61 | 9 | 2012 | 법학

위험사회와 과실의 공동정범

Co-principals of Crime by Negligence in Risk Society

성균관법학 | 23 | 3 | 2011 | 법학

승계적 공동정범에 대한 검토

Studien zur Sukzessive Mittäterschaft

경희법학 | 47 | 3 | 2012 | 비교법학

승계적 공동정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uccessional Joint Principal Offender

한양법학 | 35 | 2011 | 법해석학

형법 제30조 「공동」의 의미와 공동정범의 본질

The Meaning of 「jointly」 in Article 30. and the nature of Co-Perpetration

법학논총 | 24 | 2010 | 법해석학

형법 제30조 「공동」의 의미와 공동정범의 본질

The Meaning of 「jointly」 in Article 30. and the nature of Co-Perpetration

법학논총 | 24 | | 2010 | 법해석학

판례에 나타난 공모공동정범의 형상(形象)과 문제점

Die Rechtsfigur der Mittäterschaft ohne Beteiligung an der Tatausführung in der koreanischen Rechtsprechung und ihre Problematik

성균관법학 | 24 | 2 | 2012 | 법학

공모공동정범이론을 둘러싼 논쟁들의 현주소

Ein Beitrag zur sachgerechten Beurteilung der Meinungen um die Mittäterschaft durch Verabredung

법학연구 | 15 | 2 | 2012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

Die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Mittäterschaft ohne Tatbeteiligung

법학논고 | 32 | 2010 | 법학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

Die funktionelle Tatherrschaft und Mittäterschaft ohne Tatbeteiligung

법학논고 | | 3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