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 공급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571

STNet ID : 1004054

한자 : 勞動供給
영어 : labor supply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노동 수요 [ 勞動需要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b01-01 행위/활동 / x02-03 시점 시점

여가 [ 餘暇 ]

isCausedBy (원인)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소득 [ 所得 ]

RT (관련어)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노동 생산성 [ 勞動生産性 ]

RT (관련어)

 

c01-01 경향/동향 경향/동향
c01-01 경향/동향 /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인구 고령화 () [ 人口高齡化 ]

RT (관련어)

 

c01-05 분포 분포

소득 분포 [ 所得分布 ]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ITC on labor supply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2 | 1 | 2012 | 정책학

Industrial Difference in Employment Effect of Economic Growth

고용탄력성의 산업별 차이의 구조와 원인

경제연구 | 29 | 4 | 2011 | 경제학

노동수급 측면에서 본 우리나라 저소득층 활성화 정책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olicy for Low Income Groups in Korea: Focused on the Labour Supply-Demand Side Interventions

보건사회연구 | 32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가 노동 공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Labor Supply and Earnings

한국정책학회보 | 20 | 4 | 2011 | 정책학

인구 고령화의 파급영향 및 대응방향: 노동공급 및 공적연금 제도를 중심으로

Economic Impacts and Policy Challenges of Population Aging in Korea: In Perspectives of Labor Supply and Public Pension Scheme

경제학연구 | 59 | 2 | 2011 |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