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연구분야 : B0805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산업/노동사회학

클래스 : 인간(사회계층)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2843

STNet ID : 1000229

한자 : 勞動者

a01-04-04 인간(사회계층)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노공 [ 勞工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코민테른 [Comintern]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노동 조합 () [ 勞動組合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관련자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노동 단체 () [ 勞動團體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강제 노동자 [ 强制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기혼 취업 여성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화 노동자 [ 文化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공장 노동자 [ 工場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5-01 인간(재능) 인간(재능)

선지 노동자 [ 先知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필리핀 노동자 [ --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1 민족/인종/종족 민족/인종/종족

북한 노동자 [ 北韓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빈곤 노동자 [ 貧困勞動者 ]

hasKind (종류)

 

 

산업 노동자 [ 産業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계약 노동자 [ 契約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여성 노동자 [ 女性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징용 노동자 [ 徵用勞動者 ]

hasKind (종류)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인부 [ 人夫 ]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모범 노동자 [ 模範勞動者 ]

hasKind (종류)

 

 

이주 노동자 () [ 移住勞動者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노동 생산량 [ 勞動生産性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이윤율 저하의 법칙 () [ 利潤率低下--法則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노동 소설 () [ 勞動小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민중시 [ 民衆詩 ]

RT (관련어)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노동자 대중 정책 [ 勞動者大衆政策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가족농 [ 家族農 ]

RT (관련어)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노동자 참가 [ 勞動者參加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노동 문제 [ 勞動問題 ]

RT (관련어)

 

 

노동자 권익 [ 勞動者權益 ]

RT (관련어)

 

e04-02 관념적공간 관념적공간

노동 환경 [ 勞動環境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노동자 조달국 [ 勞動者調達局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국제노동기구 () [ 國際勞動機構 ]

RT (관련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근로자 [ 勤勞者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작업장 [ 作業場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이론(사상,이념,주의,법칙)

계급 교양 [ 階級敎養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법 [ 勞動法 ]

isAppliedTo (적용 대상)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경제적 강제 [ 經濟的强制 ]

produces (대상 개념)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5.30운동 [ 5.30運動 ]

produces (대상 개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영국노동조합회의 () [ 英國勞動組合會議 ]

produces (대상 개념)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생계비 테스트의 위기 [Means Test Crisis]

신동엽 시의 공간적 특성과 심상지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aginative Geography of Shin Dong-Yeop’s Poetry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서발턴의 생활글과 민족문학론의 재구성

The Writings of Subaltern and Reconstruction of National Literature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복구시기 북한 노동계급의 성격화 양상-윤세중의 『시련속에서』(1957)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zation Aspect of the North Korean Laboring Classes in the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With Focus on Yoon Sae-joong’s “Amid the Ordeal(1957)”-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후복구시기 북한 노동계급의 성격화 양상-윤세중의 『시련속에서』(1957)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zation Aspect of the North Korean Laboring Classes in the Postwar Rehabilitation Period -With Focus on Yoon Sae-joong’s “Amid the Ordeal(1957)”-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노동문화의 형성과 균열에 관한 연구: 공업화시기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terioration of Labor Culture in North Korea: the Industrialization era

국제정치논총 | 50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노동문화의 형성과 균열에 관한 연구: 공업화시기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terioration of Labor Culture in North Korea: the Industrialization era

국제정치논총 | 50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국소설에 나타난 한일합병 전후의 시대 인식 -『두만강』ㆍ『먼동』ㆍ『아리랑』을 중심으로-

Awareness of Period Before and After Korea Japan Annexation Depicted in Korean Novels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항구와 공장의 근대성 - 인천에 대한 문학적 표상 연구

The Modernity of Port and Factory -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of Incheon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항구와 공장의 근대성 - 인천에 대한 문학적 표상 연구

The Modernity of Port and Factory - Study on Literary Representation of Incheon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시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시론적 재구성

The Remaking of National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숭실사학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일제시대 재일한인 민족운동의 시론적 재구성

The Remaking of National movement of Korean residents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숭실사학 | | 25 | 2010 | 기타역사일반

The Situation of Muslim and Immigration Policy in Germany

독일에서 무슬림 현황과 이주민 정책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1 | 2 | 2011 | 종교학

‘결함 있는’ 인민: 중국 동북 노동자 밀집지역에서 기층간부들의 ‘사구자치’(社区自治)가 갖는 딜레마

“Flawed” People: The Dilemma of Community Cadres in a Workers’ Village, Northeast China

현대중국연구 | 13 | 1 | 2011 | 중국

북한의 국가사회주의, 그리고 일상의 불확정성과 가능성

North Korea’s State Socialism, and the Indeterminacy and Possibilities of Everyday life

통일인문학 | 49 | 2010 | 기타인문학

북한의 국가사회주의, 그리고 일상의 불확정성과 가능성

North Korea’s State Socialism, and the Indeterminacy and Possibilities of Everyday life

통일인문학 | 49 | | 2010 | 기타인문학

민중미술: 「원시(原始)를 꿈꾸다」, 바타이유(G. Bataille)와 루카치(G. Lukács) 사상으로 접목 고찰

Minjung Art : 'Dream of going back to the primitive times', reading it by the theories of G. Bataille and G. Lukács

미술사와 시각문화 | 10 | 2011 | 미술

에밀 졸라의 『목로주점』에 나타난 노동자 삶의 은유와 상징 연구

Etude de métaphores et de symboles de la vie des ouvriers dans L'Assommoir d'E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에밀 졸라의 『목로주점』에 나타난 노동자 삶의 은유와 상징 연구

Etude de métaphores et de symboles de la vie des ouvriers dans L'Assommoir d'Emile Zola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동일방직 문제를 해결하라> 연구

Settle Dongil textile company’s affairs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동일방직 문제를 해결하라> 연구

Settle Dongil textile company’s affairs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삐라와 연애편지 -일제 하 노동자소설에 나타난 노동조합의 의미-

Labor Unions in Colonial Korean Literature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 목포 노동자들의 현실과 문학적 재현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Laborers from 1920s to 1930s in Mokpo —Focused on Park, Hwa-seong's novels—

국어국문학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 목포 노동자들의 현실과 문학적 재현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Laborers from 1920s to 1930s in Mokpo —Focused on Park, Hwa-seong's novels—

국어국문학 | | 1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합하는 정체성, 남성성, 그리고 계급: 1970년대 거대 조선사업장 노동자들의 사례

Contesting or Fractured Identities, Masculinities, and Class: A Case Study on the Workers of a Gigantic Shipyard in 1970s

산업노동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경합하는 정체성, 남성성, 그리고 계급: 1970년대 거대 조선사업장 노동자들의 사례

Contesting or Fractured Identities, Masculinities, and Class: A Case Study on the Workers of a Gigantic Shipyard in 1970s

산업노동연구 | 16 | 1 | 2010 | 사회과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