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법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6314

STNet ID : 1002325

한자 : 勞動法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부당 노동 행위 [ 不當勞動行爲 ]

S:동의

UF (비우선어)

 

 

노동 관계법

UF (비우선어)

 

 

노동 관련법 [ 勞動關聯法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회법 [ 社會法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독일 노동법 () [ 獨逸勞動法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보호법 [ 勞動保護法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별적 근로 관계법 [ 個別的勤勞關係法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제 제도 [ 共濟制度 ]

hasPhenomenon (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사법의 공법화 현상 [ 私法--公法化現像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관행 [ 勞動慣行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무노동 무임금 [ 無勞動無賃金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사용자 단체 [ 使用者團體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x02-03 시점 시점

근로 시간 [ 勤務時間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산업 재해 [ 産業災害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근로의 권리 [ 勤勞--權利 ]

RT_Y (◄관련어)

관련법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주5일 근무제 () [ 週五日勤務制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노동자 [ 勞動者 ]

중국의 근로자파견에 관한 법적연구

中国劳务派遣之法律规制 - A Study on the Labor Dispatch in Chinese Law -

중국법연구 | 13 | 2010 | 비교법학

중국의 근로자파견에 관한 법적연구

中国劳务派遣之法律规制 - A Study on the Labor Dispatch in Chinese Law -

중국법연구 | 13 | | 2010 | 비교법학

중국 근로계약법의 제정과정과 입법배경

The Enactment Process and Legislation Background of the Labor Contract Law in the PRC (中国劳动合同法的制定过程和立法背景)

중국법연구 | 12 | 2010 | 비교법학

중국 근로계약법의 제정과정과 입법배경

The Enactment Process and Legislation Background of the Labor Contract Law in the PRC (中国劳动合同法的制定过程和立法背景)

중국법연구 | 12 | | 2010 | 비교법학

프랑스 헌법상 단결권ㆍ단체교섭권 제한의 법리와 실제

Les limites du droit syndical et de la négociation collective dans la Constitution en Franc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프랑스 헌법상 단결권ㆍ단체교섭권 제한의 법리와 실제

Les limites du droit syndical et de la négociation collective dans la Constitution en Franc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특례제도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독일의 근로시간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포함하여 -

Eine Studie über die Probleme und die Verbesserungsvorschlage für die Ausnahmebestimmung der Arbeitszeit im Arbeitsstandardgesetz- einschließlich einer Untersuchung im Vergleich mit demRechtssystem für Arbeitszeit in Deutschland -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

독립적 법체계로서의 과학기술법 개념 고찰

A study on the rational grounds of Law of Science & Technology as independent legal system

과학기술법연구 | 17 | 2 | 2011 | 기타법학

韓国における経済危機と労働法の役割

한국의 경제위기와 노동법의 역할

법학논총 | 30 | 1 | 2010 | 법학

韓国における経済危機と労働法の役割

한국의 경제위기와 노동법의 역할

법학논총 | 30 | 1 | 2010 | 법학

한국의 경제위기와 노동법의 역할

법학논총 | 30 | 1 | 2010 | 법학

한국의 경제위기와 노동법의 역할

법학논총 | 30 | 1 | 2010 | 법학

노동법에서의 권리남용 판례 법리

The Principle of Abuse of Rights in the Labor Law

노동법연구 | 29 | 2010 | 법학

노동법에서의 권리남용 판례 법리

The Principle of Abuse of Rights in the Labor Law

노동법연구 | | 29 | 2010 | 법학

노동관련 법률에서의 장애차별실태 및 개선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Law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9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노동관련 법률에서의 장애차별실태 및 개선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Discrimination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Law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9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근로권의 헌법합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독일에서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해석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ight to Labor

법학논총 | 34 | 2 | 2010 | 법학

근로권의 헌법합치적 해석에 관한 연구 -독일에서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 해석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Right to Labor

법학논총 | 34 | 2 | 2010 | 법학

노동법 패러다임의 전환

The Paradigm Shift of Labor Law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勞動法과 勞動者의 權利保障에 관한 硏究 -1980∼1990년대 프랑스 勞動市場政을 中心으로-

A Study on the Labor Laws and Workers’ Rights Ensure -1980∼1990’s Focus on Labor Market Policies in France-

법학논총 | 35 | 2 | 2011 | 법학

노동법에서의 신의칙과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 개별적 노동분쟁사건 적용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Labor Law Cas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and Abuse of Rights

노동법연구 | 29 | 2010 | 법학

노동법에서의 신의칙과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 개별적 노동분쟁사건 적용례의 검토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Labor Law Case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Trust and Good Faith and Abuse of Rights

노동법연구 | | 29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