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법률/법령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639

STNet ID : 1002051

한자 : 勞動組合--勞動關係調停法

y05-01 법률/법령

대상3

근로자 (勤勞者)

이전법률명_o

노동 조합법 (勞動組合法)

목적_t2

산업평화의 유지와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노조및조정법 () [ 勞組--調整法 ]

UF (비우선어)

 

 

노조법 () [ 勞組法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집단적 노사 관계법 [ 集團的勞使關係法 ]

R1:개념적

isBaseFor (근거.토대의 대상)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노동쟁의 [ 勞動爭議 ]

RT_Y (◄관련어)

관련 법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c03-04 경제/경영/무역 /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노사 관계 [ 勞使關係 ]

RT_Y (◄관련어)

관련법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파업 [ 罷業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교섭 대상 [ 交涉對象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쟁의 조정 제도 [ 勞動爭議調停制度 ]

applies (적용 방법/이론)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근로 조건 [ 勤勞條件 ]

미국노동법상 노동조합의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by Labor Organization in USA Law

법학연구 | 19 | 1 | 2011 | 기초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유니온숍협정제도의 헌법적 정합성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f the Constitutional Conformity of “Union Shop” Agreement System

경희법학 | 45 | 3 | 2010 | 비교법학

유니온숍협정제도의 헌법적 정합성에 관한 일고찰

A Study of the Constitutional Conformity of “Union Shop” Agreement System

경희법학 | 45 | 3 | 2010 | 비교법학

업무방해죄의 해석과 쟁의행위 중 파업과의 관계

Interpretation on crime of interference on bus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strike among labor dispute

형사정책연구 | 23 | 1 | 2012 | 법학

노사관계로드맵 17년의 평가와 전망

The evaluation and prospect on the past 17 years’ Road Map of labor relations in Korea

노동법학 | 39 | 2011 | 노동법

사회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정책옹호연합의 형성과 붕괴: 노동법 개정과정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Breakdown of the Policy Coalition in the Social Policy Making Process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2 | 2010 | 정책학

사회정책결정과정에 있어서 정책옹호연합의 형성과 붕괴: 노동법 개정과정을 중심으로

The Formation and Breakdown of the Policy Coalition in the Social Policy Making Process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2 | 2010 | 정책학

파업과 업무방해죄

Streik als Arbeitskampf und Geschäftshindernis - im bezug auf das Urteil von 2011.3.17, 2007do482(Großer Senat) -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

노동법의 선진적 개정 방향

The Advanced Proposal of Amendment of the Labor Law

법학논총 | 23 | 1 | 2010 | 기타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