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100

STNet ID : 1001385

한자 : 罷業
영어 : strike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노동쟁의 [ 勞動爭議 ]

isKindOf (상위 유형)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불가항력 [ 不可抗力 ]

isKindOf (상위 유형)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쟁의행위 [ 爭議行爲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정치파업 [ 政治罷業 ]

hasKind (종류)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의사 파업 [ 醫師罷業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업무방해 [ 業務妨害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파업권 [ 罷業權 ]

RT (관련어)

 

a02-04 사회(종교)조직/단체 사회(종교)조직/단체

노동 조합 () [ 勞動組合 ]

RT (관련어)

 

C02 심리 심리

노조 몰입 [ 勞組沒入 ]

RT (관련어)

 

b01-04 위법행위 위법행위

불법 쟁의 [ 不法爭議 ]

RT_X (관련어►)

관련법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 勞動組合--勞動關係調停法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무노동 무임금 [ 無勞動無賃金 ]

R5:물리적

isConnectedTo (연결/부착)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채무불이행 [ 債務不履行 ]

미국노동법상 노동조합의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by Labor Organization in USA Law

법학연구 | 19 | 1 | 2011 | 기초법

2011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the Important Precedents in Labor Law in 2011

인권과 정의 | 424 | 2012 | 법학

항만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제고방안 - 필수유지업무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for a stable supply in port labour -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essential minimum services system -

법학연구 | 20 | 2 | 2012 | 기초법

쟁의행위와 민사책임 -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

Industrial Action And Civil Liability - Focusing On Analysis Of Judicial Precedents -

법조 | 60 | 6 | 2011 | 법학

형법상 업무방해죄와 쟁의권 ― 헌법재판소 2010.4.29. 선고, 2009헌바168 결정을 중심으로 ―

Penal Sanction against Strike: Focused on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2010. 4. 29, 2009HUNBA168)

민주법학 | 44 | 2010 | 법학

형법상 업무방해죄와 쟁의권 ― 헌법재판소 2010.4.29. 선고, 2009헌바168 결정을 중심으로 ―

Penal Sanction against Strike: Focused on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2010. 4. 29, 2009HUNBA168)

민주법학 | | 44 | 2010 | 법학

난하이혼다 파업과 중국 노동운동에 대한 함의

The Strike in Nanhaihonda and its Implications for China’s Labor Movement

중소연구 | 35 | 3 | 2011 | 사회과학

이른바 “정치파업”과 우리 노동헌법

Sogenannt “Der Politische Streik” und unsere Arbeitsverfassung

노동법연구 | 28 | 2010 | 법학

이른바 “정치파업”과 우리 노동헌법

Sogenannt “Der Politische Streik” und unsere Arbeitsverfassung

노동법연구 | | 28 | 2010 | 법학

필수유지업무결정에 관한 최근 판례 분석

Analyse der aktuellen Rechtsprechung für die Notstandsartbeit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필수유지업무결정에 관한 최근 판례 분석

Analyse der aktuellen Rechtsprechung für die Notstandsartbeit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업무방해죄의 해석과 쟁의행위 중 파업과의 관계

Interpretation on crime of interference on busin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strike among labor dispute

형사정책연구 | 23 | 1 | 2012 | 법학

노동관계와 파업결정단위

Labour Relation and Unit of Strike Ballot

노동법연구 | 29 | 2010 | 법학

노동관계와 파업결정단위

Labour Relation and Unit of Strike Ballot

노동법연구 | | 29 | 2010 | 법학

집단적 노무제공의 거부로서의 파업과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 대법원 2011.3.17. 선고 2007도48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Strike and Obstruction of business

형사법의 신동향 | 35 | 2012 | 형법

쟁의행위로서 파업의 업무방해죄 성립여부에 관한 고찰

Essai sur la constitution de la grève imprevue en l'entrave de la liberté du travail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

업무방해죄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와 과제 ― 후속 판결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A Significance and Task of the Supreme Court Grand Bench Decision on the Obstruction of Business

노동법연구 | 33 | 2012 | 법학

파업과 부작위에 의한 위력업무방해죄 - 대법원 2011.3.17. 선고 2007도48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Labor Strike and Omission Crime of Interference with Business

비교형사법연구 | 13 | 2 | 2011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