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 노동 행위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144

STNet ID : 1001579

한자 : 不當勞動行爲
영어 : unfair labor practice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노동 행위 [ 勞動行爲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불이익 취급 [ 不利益取扱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일본 노동법 () [ 日本勞動法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법 [ 勞動法 ]

RT (관련어)

 

a01-03-02 인간(대인관계) 인간(대인관계)

노동 관계 [ 勞動關係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부당 해고 [ 不當解雇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긴급이행명령 [ 緊急履行命令 ]

RT (관련어)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R] 청소년 아르바이트 실태 () [ 靑少年 -- 實態 ]

RT (관련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대량 관찰 방식 [ 大量 觀察 方式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민사적 구제 () [ 民事的救濟 ]

복수노조 시행과 노사관계 안정화 방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Multi-Unions and the Stabilization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경희법학 | 46 | 4 | 2011 | 비교법학

노동법학에서의 헌법학의 역할

The Roles of Constitutional Law in Labor Law

동아법학 | 48 | 2010 | 법학

협약자치의 견지에서 본 단체교섭응낙 가처분결정인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study of a court’s decision of granting the motion for provisional disposition of a forced compliance with collective bargaining in terms of “Autonomy in Collective Bargaining”

안암법학 | 31 | 2010 | 법학일반

협약자치의 견지에서 본 단체교섭응낙 가처분결정인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Critical study of a court’s decision of granting the motion for provisional disposition of a forced compliance with collective bargaining in terms of “Autonomy in Collective Bargaining”

안암법학 | | 31 | 2010 | 법학일반

韓国における団体交渉窓口の単一化と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の制度化

한국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와 교섭대표노동조합등의 공정대표의무의 제도화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韓国における団体交渉窓口の単一化と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の制度化

한국에서의 단체교섭창구단일화와 교섭대표노동조합등의 공정대표의무의 제도화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 「公正代表義務」 論

일본에서의 「공정대표의무」론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 「公正代表義務」 論

일본에서의 「공정대표의무」론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団体交渉権の性格と交渉代表制

일본국에서의 단체교섭권의 성격과 교섭대표제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日本における団体交渉権の性格と交渉代表制

일본국에서의 단체교섭권의 성격과 교섭대표제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2009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Judicial Precedent of Labor Cases in 2009

인권과 정의 | 403 | 2010 | 법학

2009년 노동법 중요 판례

A Study on Judicial Precedent of Labor Cases in 2009

인권과 정의 | | 403 | 2010 | 법학

韓国における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

교섭대표노조의 공정대표의무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韓国における交渉代表労働組合等の公正代表義務

교섭대표노조의 공정대표의무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단체협약 시정명령제도의 운용실태와 한계

A Review of the Administrative Order to Modify Unlawful Contents of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

노동법학 | 42 | 2012 | 노동법

일본 노동조합법상의 근로자 개념-최고재판소 판례법리를 중심으로-

A Definition of an Employee under the Trade Union Act in Japan

법제연구 | 41 | 2011 | 법학

미국의 단체행동의 정당성

Concerted Activities and the Law in U.S.A.

노동법학 | 42 | 2012 | 노동법

노조법상 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 이후의 법리적 쟁점

The Legal Issues of Time-off System after Enforcement of New TULRAA

법과정책연구 | 11 | 4 | 2011 | 법학

미국의 직장폐쇄

Lockout in U.S.A.

노동법논총 | 25 | 2012 | 노동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2010 | 노동법

단체협약의 일방적 해지에 대한 부당노동행위 판단 - 일본의 법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on Unilateral Termination of Collective Agreement - Focus on Japanese Legal Principles -

노동법논총 | 19 | | 2010 | 노동법

미국노동법상 노동조합의 부당노동행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Unfair Labor Practice by Labor Organization in USA Law

법학연구 | 19 | 1 | 2011 | 기초법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재검토 - 노동조합의 부당노동행위의 신설을 중심으로

複數労働組合の時代の不当労働行為制度の再検討 労働組合の不当労働行為の新設を中心に -

노동법논총 | 20 | 2010 | 노동법

복수노조시대의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재검토 - 노동조합의 부당노동행위의 신설을 중심으로

複數労働組合の時代の不当労働行為制度の再検討 労働組合の不当労働行為の新設を中心に -

노동법논총 | 20 | | 2010 |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