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 시간

연구분야 : B030400 사회과학 > 경제학 > 노동경제

클래스 : 사회제도
시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53651

STNet ID : 1002052

한자 : 勤務時間
영어 : hours of labour
독일어 : Arbeitszeit
프랑스어 : heures du travail

d02-01 사회제도

x02-03 시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작업 시간 [ 作業時間 ]

UF (비우선어)

 

 

노동 시간 [ 勞動時間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2 시대/시간 시대/시간

시간 () [ 時間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기본급 [ 基本給 ]

affects (영향)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노동 강도 [ 勞動 强度 ]

hasPhenomenon (현상)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근로 시간 단축 [ 勤勞時間短縮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대체 근로제 [ 代替勤勞制 ]

isCausedBy (원인)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근로 계약 [ 勤勞 契約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일-가정 균형 () [ --家庭均衡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근로기준법 () [ 勤勞基準法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근로 [ 勤勞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법 [ 勞動法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삶의 질 () [ --質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노동 정책 [ 勞動政策 ]

R2:기능적

isAnalyzedBy (분석 방법)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시간 분석 [ 時間分析 ]

포괄임금제의 재조명

Reinterpretation of Inclusive wage system

사법 | 1 | 15 | 2011 | 법정책학

일ㆍ가정양립제도의 성주류화 실현을 위한 노동관계법의 입법과제

A study on Labour Law’s Legislative Issues for Realizing Gender-Mainstreaming of Work-Family Balance Syste

법학논집 | 15 | 1 | 2010 | 기타법학

일ㆍ가정양립제도의 성주류화 실현을 위한 노동관계법의 입법과제

A study on Labour Law’s Legislative Issues for Realizing Gender-Mainstreaming of Work-Family Balance Syste

법학논집 | 15 | 1 | 2010 | 기타법학

비정규 노동과 근로빈곤의 관계: 임금차별과 근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Non-regular Employment and Working Poor in Korea: The effect of wage differentials and working hours

노동정책연구 | 10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비정규 노동과 근로빈곤의 관계: 임금차별과 근로시간의 영향을 중심으로

Non-regular Employment and Working Poor in Korea: The effect of wage differentials and working hours

노동정책연구 | 10 | 3 | 2010 | 사회과학일반

취약지수를 이용한 사업장 근로감독과 지방노동관서 평가

Vulnerability index for workplace spot inspection

노동경제논집 | 34 | 3 | 2011 | 경제학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대표 및 서면 합의 제도

The Workers' Representative and Agreement in Writing of the Labor Standards Act

노동법학 | 37 | 2011 | 노동법

출산장려 정책과 근로시간이 기혼여성의 둘째 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licy on Childbirth Encouragement and Working Time on Secondary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한국인구학 | 34 | 3 | 2011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화이트칼라 근로자의 근로시간 관리규범에 대한 새로운 모색:미국 White-Collar Exemption 제도를 중심으로

A Search for Alternative Ways to Regulate Work Hours of White-collar Employees in Korea: Focusing on the White-collar Exemption of the U.S. Fair Labor Standard Acts

산업관계연구 | 21 | 1 | 2011 | 경영학

일하는 시간의 유연화 및 다양화

Flexibi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iming of work in Korea

사회과학논집 | 42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대기시간의 법리

Legal principles of waiting hour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

근로시간운용의 탄력화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유럽 주요국가의 근로시간법제 변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Flexible Work-hour Arrangement - Special Focus on the Change of Legal System of European Countries -

노동법논총 | 18 | 2010 | 노동법

근로시간운용의 탄력화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유럽 주요국가의 근로시간법제 변화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Flexible Work-hour Arrangement - Special Focus on the Change of Legal System of European Countries -

노동법논총 | 18 | | 2010 | 노동법

근로기준법상 근로시간 특례제도의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소고- 독일의 근로시간 법제에 대한 비교법적 검토를 포함하여 -

Eine Studie über die Probleme und die Verbesserungsvorschlage für die Ausnahmebestimmung der Arbeitszeit im Arbeitsstandardgesetz- einschließlich einer Untersuchung im Vergleich mit demRechtssystem für Arbeitszeit in Deutschland -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