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 계약

연구분야 : B130403 사회과학 > 법학 > 분야별법 > 노동법

클래스 : 경제/산업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0061

STNet ID : 1001377

한자 : 勤勞 契約
영어 : labor contract

b01-03 경제/산업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근로자 보호 [ 勤勞者 保護 ]

N1:종류

hasKind (종류)

 

x03-06-02 교환/교류/교제 교환/교류/교제

위장 근로 계약 [ 僞裝勤勞契約 ]

hasKind (종류)

적용/적용대상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중국 근로 계약법 [ 中國勤勞契約法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3-02 인간(대인관계) 인간(대인관계)

노동 관계 [ 勞動關係 ]

R1:개념적

affects (영향)

 

x02-02 기간 기간

계속 근로 기간 [ 繼續勤勞期間 ]

affects (영향)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무기 계약직 [ 無期契約職 ]

hasIssue (이슈/주제)

 

x03-06-04 반응/대응 반응/대응

개별적 근로관계 () [ 個別的勤勞關係 ]

hasIssue (이슈/주제)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직접 고용 의무 [ 直接 雇用 義務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고용 승계 [ 雇用 承繼 ]

resultsIn (산물/결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d02-01 사회제도 / x02-03 시점 시점

근로 시간 [ 勤務時間 ]

RT (관련어)

 

y05-01 법률/법령 법률/법령

근로기준법 () [ 勤勞基準法 ]

RT (관련어)

 

 

근로 계약 법제도 [ 勤勞契約法制度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배려 의무 [ 配慮義務 ]

RT (관련어)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정당한 이유 [ 正當-- 理由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해고 [ 解雇 ]

RT (관련어)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사용자 [ 使用者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노무 관리 [ 勞務管理 ]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사용 종속 관계 [ 使用從屬關係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대기 발령 [ 待機發令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사직(퇴직) [ 辭職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갱신 기대권 [ 更新期待權 ]

isAppliedTo (적용 대상)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준법 투쟁 [ 遵法鬪爭 ]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시용 [ 試用 ]

포괄임금제의 재조명

Reinterpretation of Inclusive wage system

사법 | 1 | 15 | 2011 | 법정책학

근로기준법상 「취업규칙」의 개념에 대한 일고찰 ― 취업규칙법론의 재정립을 위해 ―

Eine arbeitsrechtliche Untersuchung auf den Begriff der “Arbeitsordnung” im Arbeitsnormengesetz: Zur Rekonstraktion des Arbeitsordnungsrechts

노동법학 | 42 | 2012 | 노동법

한·중·일 노동계약법제의 비교 -상호이해와 공존·경쟁을 위한 예로서-

Eine Vergleichung der Arbeitsvertragsgesetze von Korea, Japan und China - ein Beispiel zum wechselseitigen Verständnis und Wettbewerb

동북아법연구 | 6 | 1 | 2012 | 비교법학

개정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09년 10월 9일 개정법률을 중심으로 ―

Revisions and improvements on Issues of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 Focused on Law Revised in October 9, 2009 -

노동법논총 | 18 | 2010 | 노동법

개정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2009년 10월 9일 개정법률을 중심으로 ―

Revisions and improvements on Issues of the current Employment Permit System - Focused on Law Revised in October 9, 2009 -

노동법논총 | 18 | | 2010 | 노동법

사내도급에 의한 수급인의 근로자의 근로계약관계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Contractor and Intra-subcontractor's Employees

법학논총 | 23 | 2 | 2011 | 기타법학

일본 근로자파견과 위장도급의 쟁점

日本における労働者派遣と偽装請負の争点

노동법연구 | 29 | 2010 | 법학

일본 근로자파견과 위장도급의 쟁점

日本における労働者派遣と偽装請負の争点

노동법연구 | | 29 | 2010 | 법학

就業規則制度의 比較法的 一考察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ystem of Works Rules

경희법학 | 45 | 4 | 2010 | 비교법학

간접고용과 근로자의 보호 - 시민법적 계약형식과 노동법적 이념의 갈등 -

Indirect Employment and Worker Protection - The Conflict between the Main Spirit of Labor Law and the Formality of Civil Contract Law -

경희법학 | 46 | 2 | 2011 | 비교법학

「근로계약의 기간」에 대한 일고찰

A legal study of the problems of "time period" in labor contract

노동법연구 | 32 | 2012 | 법학

근로계약법의 제정에 관한 연구 ― 독일과 일본의 논의를 중심으로 ―

Die Gesetzgebung des Arbeitsvertragsgesetzes

노동법논총 | 24 | 2012 | 노동법

사내도급에서의 위장도급과 불법파견의 상호관계

社内請負における偽装請負と不法派遣の相互関係

강원법학 | 32 | 2011 | 기타법학

미국 국가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The Definition of Employee in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법학연구 | 18 | 1 | 2010 | 기초법

미국 국가 노동관계법상의 근로자의 의미

The Definition of Employee in National Labor Relations Act

법학연구 | 18 | 1 | 2010 | 기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