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고고학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662

STNet ID : 1004102

한자 : 實驗考古學
영어 : experimental archaeology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고고학 () [ 考古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실증 연구 () [ 實證硏究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유물 (유적) [ 遺物 ]

新石器時代 集石遺構의 機能에 대한 批判的 檢討

A Critical Review of the Function of Stone Pile Features

한국고고학보 | 81 | 2011 | 역사학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A study of engraving technique in the Amsa-dong pottery

한국신석기연구 | 20 | 2010 | 역사학

암사동 유적 신석기시대 토기의 시문기법

A study of engraving technique in the Amsa-dong pottery

한국신석기연구 | | 20 | 2010 | 역사학

제작실험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대형옹관 제작기법 연구

Research on the ceramic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large jar coffin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method

숭실사학 | 27 | 2011 | 기타역사일반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토기 소성유구 변화 양상에 관한 일 고찰 - 실험고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Pottery Production and Social Transfornation During the Korean Neolithic and Bronze Age

호서고고학 | 23 | 2010 | 기타고고학

신석기시대 및 청동기시대의 토기 소성유구 변화 양상에 관한 일 고찰 - 실험고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Pottery Production and Social Transfornation During the Korean Neolithic and Bronze Age

호서고고학 | | 23 | 2010 | 기타고고학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마연토기의 제작복원

The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Age polished pottery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야외고고학 | 8 | 2010 | 고고학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마연토기의 제작복원

The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Age polished pottery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야외고고학 | | 8 | 2010 | 고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