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6

한자 : 考古學
영어 : archaeology
영어 : Archeology
독일어 : Archäologie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류학 [ 人類學 ]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역사학 [ 歷史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화재학 [ 文化財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환경 고고학 [ 環境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실험고고학 () [ 實驗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한국 고고학 [ 韓國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선사 고고학 [ 先史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서양 고고학 [ 西洋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불교 고고학 [ 佛敎考古學 ]

hasBranch (분기/분과)

 

 

동양 고고학 [ 東洋考古學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사용흔 [ 使用痕 ]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70 | 2010 | 기타인문학

풍속·문화론적 (문학) 연구와 개념사의 접속, 일상개념 연구를 위한 試論

The Conjunction of Cultural (Literary) Studies and Conceptual History: an essay to Establish a new research field of cultural concept studies

대동문화연구 | | 70 | 2010 | 기타인문학

광활한 몽골초원과 흉노인의 생존 - 고고학 증거를 중심으로 -

The Existence of Xiongnu on Great Mongol Steppe -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

중앙아시아연구 | 15 | 2010 | 역사학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 비교 -과학적 인식론과 고고학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pistemology of Bachelard and Foucault -Focusing on the Scientific Epistemology and the Archeology-

철학연구 | 41 | 2010 | 철학

바슐라르와 푸코의 인식론 비교 -과학적 인식론과 고고학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Epistemology of Bachelard and Foucault -Focusing on the Scientific Epistemology and the Archeology-

철학연구 | | 41 | 2010 | 철학

Yijing as a Pilgrim Monk at Nālandā

의정 스님의 나란다 순례

한국불교학 | 57 | 2010 | 종교학

Yijing as a Pilgrim Monk at Nālandā

의정 스님의 나란다 순례

한국불교학 | | 57 | 2010 | 종교학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Moderne’ et Aufklärung chez Michel Foucault

근대 철학 | 5 | 2010 | 철학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Moderne’ et Aufklärung chez Michel Foucault

근대 철학 | 5 | | 2010 | 철학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한국 전통공간디자인의 고고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aeological Approach in Korean Traditional Space Desig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2 | 2010 | 디자인

푸코의 현대미술 비평 : 근대성 개념과 마네의 회화

M. Foucault‘s Criticism of Modern Art :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E. Manet's Paintings

동서철학연구 | 63 | 2012 | 철학

巨視的 관점에서 본 東北亞 社會文化體系의 變動

The socio-cultural change of Northeastern Asia in the interregional perspective

동북아역사논총 | 33 | 2011 | 역사학

한국 금석학에 나타난 서예 연구의 문제점

Challenges of the Calligraphy Study in the Korean Epigraphy

서예학연구 | 16 | 2010 | 서예

한국 금석학에 나타난 서예 연구의 문제점

Challenges of the Calligraphy Study in the Korean Epigraphy

서예학연구 | | 16 | 2010 | 서예

호서사학회 문화재분야 연구성과의 족적과 방향

A Study on Foot marks and Tasks for Cultural property field in the Journal of the Ho-suh Historycal Association

역사와 담론 | 6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