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발화의 전사와 분석
On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Narratives in the Korean Dialects
배달말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술발화의 전사와 분석
On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Narratives in the Korean Dialects
배달말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s of '그런데'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문장과 담화 층위에서 본 상투어의 기능 -‘사과, 감사, 호명하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on character and meaning of Conventional Routines in Korean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과 담화 층위에서 본 상투어의 기능 -‘사과, 감사, 호명하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on character and meaning of Conventional Routines in Korean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과 담화 층위에서 본 상투어의 기능 -‘사과, 감사, 호명하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on character and meaning of Conventional Routines in Korean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과 담화 층위에서 본 상투어의 기능 -‘사과, 감사, 호명하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on character and meaning of Conventional Routines in Korean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방언의 확인물음
Confirmative Question in Korean Dialects
언어학 |
62 |
2012 |
언어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어 비유창성 현상의 주석 체계 연구
A Study on Tagset of Disfluency Phenomena in Spoken Korean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The Grammaticalization Approach to English 'Fear'-derived Lexemes
언어와언어학 |
56 |
2012 |
언어학
The Functional Evolution of '-Ppwun-' in Korean: A Grammaticalization Perspective
언어 |
37 |
3 |
2012 |
언어학
구어 비유창성 현상의 주석 체계 연구
A Study on Tagset of Disfluency Phenomena in Spoken Korean
텍스트언어학 |
30 |
2011 |
언어학
남성과 여성의 사적 대화에서 발화 특성 연구: 담화 기능 분석을 중심으로
A Corpus-analysis of Gender Effects in Private Speech: The Function of Discourse Markers in Spoken Korean
언어와언어학 |
53 |
2011 |
언어학
재해석의 표지 c’est-à-dire의 담화기능
Fonction discursive du marqueur de réinterprétation ≪c’est-à-dire≫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
Morphology of ‘-ɨnik'a’ dialectal forms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가지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공시적 분석
The synchronic Analysis on grammaticization of ‘gajida’construction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Discourse deixis and Social deixi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그런데’의 담화 기능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Functions of '그런데'
인문과학연구 |
34 |
2012 |
기타인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서 자동 요약 기술의 발전을 위한 학제적 접근의 필요성과 과제
Some Prospects on the Research of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for Interdisciplinary Approach
국어교육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지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공시적 분석
The synchronic Analysis on grammaticization of ‘gajida’constructions.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으니까’ 방언형의 형태론
Morphology of ‘-ɨnik'a’ dialectal forms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Discourse deixis and Social deixis
한국어 의미학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화의 회고적 기능에서 살펴본 응답어 ‘네’ 연구
The Study about the Responsive Words 'Ne' in the Backward Looking Function of the Conversatio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대화의 회고적 기능에서 살펴본 응답어 ‘네’ 연구
The Study about the Responsive Words 'Ne' in the Backward Looking Function of the Conversation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Usage of the discourse particle like in American movie scripts
현대문법연구 |
62 |
2010 |
영어와문학
Usage of the discourse particle like in American movie scripts
현대문법연구 |
|
62 |
2010 |
영어와문학
The Use of Incey in Conversation: Enhancing Addressee Involvement and Managing Boundary-Markin
사회언어학 |
18 |
2 |
2010 |
언어학
The Use of Incey in Conversation: Enhancing Addressee Involvement and Managing Boundary-Markin
사회언어학 |
18 |
2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43 |
2010 |
언어학
한국어 교육 항목으로서의 담화표지 '말이다'에 대한 고찰
이중언어학 |
|
43 |
2010 |
언어학
본격적인 화제 전환을 위한 담화 표지 연구 -‘다름 아니라’, ‘그건 그렇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s of Topic Change in Conversation -Focusing on ‘Tareumanira’, ‘Keugeongeureuhko’-
화법연구 |
20 |
2012 |
한국어와문학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표지 실현 양상과 기능 - 대학 학습자의 자기소개 발표를 중심으로
A realization aspect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s having been given to an announcement statement. - in a self-introduction announcement of academic student
새국어교육 |
85 |
2010 |
국어교육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표지 실현 양상과 기능 - 대학 학습자의 자기소개 발표를 중심으로
A realization aspect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s having been given to an announcement statement. - in a self-introduction announcement of academic student
새국어교육 |
|
85 |
2010 |
국어교육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瓶梅詞話≫中常見話語標記語的語用功能
The Pragmatic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in Jinpingmeicihua
중국어문논총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金瓶梅詞話≫中常見話語標記語的語用功能
The Pragmatic Function of the Discourse Markers in Jinpingmeicihua
중국어문논총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현대러시아어 담화와 장소 직시어: 근칭 직시어 тут와 비근칭 직시어 там을 중심으로
Discourse in Modern Russian and Place Deixis ‘tut’ and ‘tam’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현대러시아어 담화와 장소 직시어: 근칭 직시어 тут와 비근칭 직시어 там을 중심으로
Discourse in Modern Russian and Place Deixis ‘tut’ and ‘tam’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それが」に関する一考察 -談話標識としての意味機能を中心に-
「それが」에 관한 일고찰 -담화표지로서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それが」に関する一考察 -談話標識としての意味機能を中心に-
「それが」에 관한 일고찰 -담화표지로서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a’ in Gyeongsang Dialects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담화 장르에 따른 삽입 표현의 사용 양상
Usage Aspects of Insertion Expressions on Discourse Variation
한글 |
292 |
2011 |
한국어와문학
But as a Discourse Marker in Oral Narratives
언어학 |
18 |
4 |
2010 |
언어학
But as a Discourse Marker in Oral Narratives
언어학 |
18 |
4 |
2010 |
언어학
말레이시아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토론 담화 양상 연구 - 토론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
17 |
1 |
2010 |
언어학
말레이시아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토론 담화 양상 연구 - 토론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담화와 인지 |
17 |
1 |
2010 |
언어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그냥’, ‘그저’, ‘그만’의 방언 분화
Dialectal variation of Korean discourse markers, 'geunyang', 'geujeo' and 'geuman'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러시아어 담화와 장소 직시어: 근칭 직시어 тут와 비근칭 직시어 там을 중심으로
Discourse in Modern Russian and Place Deixis ‘tut’ and ‘tam’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현대러시아어 담화와 장소 직시어: 근칭 직시어 тут와 비근칭 직시어 там을 중심으로
Discourse in Modern Russian and Place Deixis ‘tut’ and ‘tam’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태조사 연구―문법화를 통해―
A Study on Mondal Josa: by grammatization
한글 |
|
290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 장르에 따른 삽입 표현의 사용 양상
Usage Aspects of Insertion Expressions on Discourse Variation
한글 |
292 |
2011 |
한국어와문학
Grammaticalization of Though in English
현대문법연구 |
62 |
2010 |
영어와문학
Grammaticalization of Though in English
현대문법연구 |
|
62 |
2010 |
영어와문학
경상방언 담화표지 ‘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marker ‘ma’ in Gyeongsang Dialects
배달말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
Discourse Marker mwe in the Interlanguage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언어연구 |
29 |
1 |
2012 |
언어학
담화표지어 ‘그냥’에 대하여
언어학 |
20 |
1 |
2012 |
언어학
On the Acquisition of the Discourse Marker But
언어학 |
58 |
2010 |
언어학
On the Acquisition of the Discourse Marker But
언어학 |
|
58 |
2010 |
언어학
담화표지어 ‘좀’ 사용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응용언어학 |
27 |
1 |
2011 |
언어학
会話における「ナンカ」の世代別使用様相 ー仙台地域を中心にー
Generational Usage Pattern of "NANKA" in Discourse-Focusing on the Sendai Dialect-
언어연구 |
26 |
1 |
2010 |
언어학
会話における「ナンカ」の世代別使用様相 ー仙台地域を中心にー
Generational Usage Pattern of "NANKA" in Discourse-Focusing on the Sendai Dialect-
언어연구 |
26 |
1 |
2010 |
언어학
축약형 담화표지 “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hortenedform Discourse Markers {jom}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제주방언 담화표지 ‘계메’ 연구
A Study of Discourse Marker 'Kyeymey' in Jeju dialect
언어학연구 |
17 |
1 |
2012 |
언어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러시아어 수용표지 ну에 대하여
A study on Russian reception Marker Nu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러시아어 수용표지 ну에 대하여
A study on Russian reception Marker Nu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
35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稱讚談話 狀況에서 反應語로 나타나는 談話標識에 관한 硏究
Study on Discourse Marker as a Responding to the Praising Discourse
어문론집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稱讚談話 狀況에서 反應語로 나타나는 談話標識에 관한 硏究
Study on Discourse Marker as a Responding to the Praising Discourse
어문론집 |
44 |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어 ‘그냥’에 대하여
언어학 |
20 |
1 |
2012 |
언어학